한일 양국은 13일 오전 정부 중앙청사에서 남쿠릴열도 주변수역 꽁치조업 개시를 앞두고 국장급 비공식 회의를 열었지만 서로 의견이 맞서 진통을 겪었다. 외교부 추규호(秋圭昊) 아태국장과 마키타 구니히코(木+眞田邦彦) 일본 외무성 아주국장이 각각 참석한 이날 협의에서 일본은 남쿠릴열도 수역을 자신들의 배타적경제수역(EEZ)으로 사실상 인정하고, 일본의 허가를 받는 형식으로 우리 어선의 조업을 허용할 수 있다는 타협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는 남쿠릴 수역조업은 한.러간 합의에 따른 것으로, 순수한 어업문제라는 두가지 원칙을 견지했다. 정부는 또 일본측 대안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일.러 영토분쟁에 휘말릴 수 있다'는 점을 들며, 러시아와의 합의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난색을 표시한 뒤 당초 예정대로 남쿠릴 조업에 착수하겠다는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아울러 일본이 어로 단속선 3척을 급파해 한국 어선들의 꽁치조업을 막을 것이라는 일본내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 불필요한 충돌이 일어날 경우 강력대처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오는 15일로 예정된 우리나라 어선의 남쿠릴 조업이 꽁치조업 적정수온 문제 때문에 다소 늦춰질 전망이라고 정부 당국자는 밝혔다. 이 당국자는 "남쿠릴열도 해역수역이 조업 적정수온(섭씨 10-12도)보다 낮아 인근 해역에서 현재 조업중인 우리 선단의 조업착수 시기가 1주일 정도 늦어질 수 있다"면서 "그러나 조업지연은 한일 어업협상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