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관한 유엔회의가 유럽연합(EU) 회원국과 미국,일본 등 각국 각료 등 고위관리들이 참석한 가운데 16일 독일 본에서 개막됐다. 오는 27일까지 열리는 이번 회의는 그러나 일본 마저 미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의 강제감축을 요구하는 기후협약에 대한 '교토(京都)의정서' 비준을 거부할 것으로 예상돼 국제적인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은 극히 불투명한 것으로 보인다. 마곳 월스트롬 EU환경담당 집행위원은 이와 관련, 독일 주간지 슈피겔과의 회견에서 "(이번 회담에) 크게 기대할 것이 없다"면서 "명확한 결정이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롬 집행위원은 자신이 이달초 일본관리들과 협상을 가졌지만 일본도 미국에 이어 교토기후협약에 대해 거부입장을 보일 것으로 믿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BBC방송도 "교토의정서가 종언을 고하고 '환경 무정부 상태'로 전락할 것"이라는 회의적인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는 현재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대기권으로 방출하는 미국의 조지 W.부시 대통령이 불이행 방침을 보이는 등 최근 부정적인 기류가 형성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유르겐 트리틴 독일환경장관은 "이번 국제회담에서 반드시 합의가 도출돼야하며 선진국들이 환경보호에 앞장서는 것이 합당하다"고 강조, 미국과 일본에대한 압박공세를 강화했다. 트리틴 장관은 특히 중국이 최근 수년간 강력한 경제성장에도 불구, 온실가스방출을 줄인 점을 상기시키면서 미국도 중국으로 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과 게르하르트 독일총리 등도 쿄토의정서가 일본에서 첫 선을 보인 만큼 일본의 책임을 강조하며 의정서 비준을 촉구하는 등 막판 설득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미국은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연구개발 부문에 대한 예산지출을 확대하고 국제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이번 회담에 폴라 도브리언스키 국무차관이 이끄느 대표단을 파견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지 W.부시 대통령은 1억2천만달러 규모의 미항공우주국(NASA)기후모델에관한 연구와 1천400만달러 규모의 엘살바도르 열대림 보존계획을 밝힌 바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이산화탄소(CO₂) 등의 방출량을 오는 2012년까지 지난 90년보다 5.2%수준 만큼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한 교토의정서는 지금까지 모두 80여국이 서명했으나 비준국가는 약 30개국에 불과하다. (베를린 AP=연합뉴스) kky@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