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하고 개인서비스요금과 학원비 안정화 대책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올들어 도내 물가가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고 특히 공공요금과 학원비 등의 인상폭이 일반 물가 인상폭을 크게 웃돌아 연 물가상승억제 목표선 4%를 달성하는 데 큰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道)는 20일 오후 2시 도청 회의실에서 일선 시.군 물가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하반기 물가안정을 위한 대책실무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도는 "올해 물가 목표선 4%를 달성하기 위해 하반기 지방정부의 강력한 안정의지 및 노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며 "지방공기업이 경영부실의 부담을 지역 주민들에게 전가하지 못하도록 차단, 지방공공요금을 안정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쓰레기 봉투가격, 상.하수도 요금 등 공공요금의 경우 현실화의 필요성이 있지만 가능한 요금인상을 억제하고 불가피할 경우 상승폭을 최소화해 품목별로 분산, 시행하도록 했다. 또 올 상반기에 이미 큰 폭으로 상승한 학원비 등 교육비 안정을 위해 교육청과 합동으로 학원 등에 대한 현장지도 및 점검을 강화, 요금인상 억제를 유도하도록 했다. 올 상반기 도내 물가는 지난해 동기 대비 4.7%, 전년말 대비 2.8% 올랐으며 특히 이 기간 공공요금은 4.0%, 학원비는 무려 10.0% 인상돼 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폭 2.8%를 크게 웃돈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이와 함께 장마철을 맞아 큰 폭의 상승세가 우려되는 농.축산물 가격 안정화를 위해 정부 비축물량 출하를 확대하고 직거래장터, 직판장 운영 등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개인 서비스요금 안정을 위해서는 가격이 다른 업소에 비해 높은 업소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 가격인하를 유도하고 이에 불응할 경우 법 규정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세무조사 및 공정거래위원회 고발 등의 조치를 하기로 했다. 도는 물가안정을 위해 소비자대표 등이 참여하는 물가감시단원을 현재 195명에서 372명으로 늘리고 감시활동 지역도 현재 13개 시 지역에서 도내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기자 kw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