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 주변에서 '합병' 얘기가 모락모락 피어 오르고 있다. 올초 기업은행과의 합병설이 나돌다 한동안 잠잠했던 외환은행의 짝짓기 문제가 다시 불거져 나온 것. 불씨는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지폈다. 이 위원장은 지난 주말 "국민.주택은행에 이어 다른 은행들이 합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계에선 코메르츠방크(지분율 32.55%)가 대주주인 외환은행이 그 주인공일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위 관계자도 "은행 구조조정의 완결판은 외환은행의 합병"이라고 밝혀 신빙성을 더해준다. 이처럼 외환은행을 두고 합병설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가장 큰 요인은 '현대 부실'이라는 굴레를 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합병으로 몸집을 키워 놓아야만 최악의 경우 '현대 부실'이라는 뇌관이 터졌을 때 버텨낼 수 있다는 것. 사실 외환은행이 헐값 매각 시비에도 불구하고 외환카드 매각을 서두르는 것도 같은 배경에서다. 카드 매각대금으로 자기자본을 충분히 확충해 앞으로 터져 나올지도 모를 부실에 대비하자는 고육책이다. 또 돈 굴릴 곳이 마땅치 않은 마당에 금년 말까지 수신액을 1조4천억원 늘리기로 한 것도 마찬가지다. 30조원 밑으로 떨어진 총 수신액을 어느 정도 유지해야 한다는 외환은행의 절박감을 느낄 수 있다. 금융계에서는 외환은행의 합병 파트너로 한미은행이나 기업은행을 유력하게 꼽는다. 기업은행의 경우 중소기업 부문이 외환은행의 대기업, 외환부문과 결합되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한미은행은 외환은행과 주력 분야나 기업문화 등이 비슷하다는게 장점이다. 일각에선 신한은행이 짝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점친다. 오는 9월 지주회사를 출범하더라도 총 자산 50조원 규모인 신한은행은 어떤 식으로든 규모를 키워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정치일정이다. 내년말 대선을 앞두고 노조의 반발을 살 은행합병을 정부가 추진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런 연유로 금융계에선 "이번 정부에서 은행합병은 더 이상 없을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외환은행 내부에서도 "현대 부실이 말끔히 처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합병이 되겠느냐"며 회의적인 반응이다. 그러나 외환은행의 살 길은 합병밖엔 없는 데다 금감위원장 언급에 비춰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겠느냐'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특히 대주주인 코메르츠방크가 맘 먹고 움직인다면 외환은행 합병은 연내에라도 전광석화처럼 이뤄질 수 있다는게 금융계 시각이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