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광복절 경축사통해 '경제회복' 총력의지 피력할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대중 대통령은 오는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경제회복"에 총력을 쏟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임기 후반기에 접어든 김 대통령이 이처럼 경제분야에 국정의 무게 중심을 두기로 한 것은 재임기간동안의 성적은 결국 경제로 평가받을 수 밖에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이 깔려 있다.
"문민정부"의 경우 군개혁과 금융실명제등 굵직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임기 후반의 금융위기 초래로 이들 업적이 빛을 바랬다는게 청와대 관계자의 설명이다.
김 대통령은 이달초 청남대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면서 "선택과 집중"이라는 화두를 내걸고 급격한 수출감소세등 경제현안을 꼼꼼히 챙겼다고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박 대변인은 "불확실한 경제여건을 돌파하기위한 대책을 숙고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광복절 경축사의 키워드가 경제살리기가 될 것임을 암시하는 말이다.
이와관련,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8.15 경축사를 통해 경제 정치 남북문제및 외교안보등 국정현안에 대해 폭넓게 언급할 예정이지만 무엇보다 제1의 촛점은 경제살리기에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털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어려움은 노력을 통해서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경제난 극복에 국민들의 동참을 호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통령은 이와함께 노사안정이 절실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기업의 투명한 경영,생산성 향상,공정한 소득분배를 내용으로 하는 신노사문화 정착의 필요성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통령은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러시아방문등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움직임에 대해 분석과 전망을 하면서 소강상태에 빠져 있는 남북관계를 진전시키기위한 구상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김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등 "획기적인 구상"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일각에선 김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당정개편등 인적쇄신 구상을 밝힐 것으로 점치고 있으나 청와대 관계자를 비롯한 여권 핵심인사들은 "지금은 경제난 극복에 힘을 쏟아야 할때"라면서 그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청와대는 주말과 휴일인 11일과 12일을 이용해 문안작성작업에 들어간 상태다.
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