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銀, 합병說 '태풍의 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은행이 은행 추가 합병설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이 최근 "합병을 추진하는 은행이 있다"고 언급한 이후 '한미?서울' '조흥?서울'의 짝짓기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것.물론 당사자들은 극구 부인한다.
그러나 은행가에선 '서울은행의 향방에 뭔가 변화가 있기는 있을 것'이라고 짐작하는 분위기다.
현재 추진 중인 해외 매각이 실패할 경우 다른 은행과의 합병이 불가피 하지 않겠느냐는 관측 때문이다.
이 금감위원장은 13일에도 "서울은행의 매각이 안될 때를 대비해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확인했다.
서울은행은 9월 말을 시한으로 독일 도이체방크캐피탈파트너스(DBCP)와 매각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지지부진한 상태.특히 DBCP측은 서울은행 경영권엔 관심이 없고 30% 안팎의 지분만 인수할 뜻을 밝혀 정부의 속을 태우고 있다.
그 정도론 '반쪽 매각'에 불과해 또다른 해법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바로 그 해법 중 하나가 다른 은행과의 합병이란 얘기다.
때마침 국민?주택은행 통합 이후 다른 은행들도 합병을 통한 대형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 터다.
서울은행과의 합병 주체로는 조흥·외환·한미은행 등이 거론되고 있다.
어떤 식으로든 몸집을 불려야 할 은행들이다.
특히 서울은행은 공적자금 투입과 구조조정을 통해 부실을 상당히 털어냈다.
지난 6월말 현재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를 넘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8.63%로 지난 98년 말 17.93%에 비해선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그러나 서울은행과 다른 은행의 합병이 성사될지는 아직 단언하기 어렵다.
"서울은행은 어떤 한 분야에 특기할 만한 장점이 없다.
규모를 키우는 것 외에는 별 가치가 없다"는 평가도 있다.
게다가 인수 주체로 거론되는 조흥·외환은행의 경우 "금년 말까진 부실여신 처리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아 합병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외환은행 관계자)는 점도 걸림돌이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