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0:42
수정2006.04.02 00:45
교육인적자원부가 올 2학기부터 시행키로 한 '파트타임 교사제'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등 주요 교원단체들의 반발에 부딪혔다.
한국교총은 13일 성명서를 통해 "파트타임 교사제 도입은 필연적으로 교원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며 "오는 2003년까지 2만3천여명의 교원을 충원하겠다던 교육부의 약속이 파트타임 교사제와 같은 땜질식 처방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이날 같은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파트타임 교사제 도입 방침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한국교총은 성명서에서 파트타임 교사가 교육 일선에 투입될 경우 정규교원들의 업무부담이 오히려 가중된다는 점도 이 제도의 도입을 반대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파트타임 교사에게는 수업 이외의 학교 업무를 맡길 수 없어 이를 남아 있는 정규교원이 모두 떠맡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교총의 한 관계자는 "교육당국은 교원 상여금의 지급이 지연되는 게 교원단체간 의견이 불일치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면서 파트타임 교사제는 반대로 교원단체의 합의가 이뤄진 것처럼 위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교원정책과 관계자는 "교원단체들의 반발은 제도 도입의 취지를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됐다"며 "제7차 교육과정으로 대폭 늘어나게 되는 수업부담을 파트타임 교사가 책임질 경우 정규교원들의 업무부담은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고 설명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