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6일 언론사주들에 대한 검찰의 사전영장 청구에 대해 각각 '유감'과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민주당 =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분명한 입장을 밝힌 만큼 '법과 원칙에 따라' 영장청구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전용학(田溶鶴)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해왔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판단을 내린 문제이므로 당에서 왈가왈부할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다만 "영장을 청구하는 상황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언론기업 경영이 투명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인 만큼 기업 투명성을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 소장파 의원은 "언론사 세무조사 처리에서 정치적 고려나 흥정은 있을 수 없으며, 원칙대로 하는 것만이 국민의 신뢰를 얻는 길"이라며 "언론사 세무조사와 탈세수사에 정치적 의도가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고 더이상 진의를 의심받지 않게 될때 비로소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을 도모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동교동계의 한 핵심의원은 "모든 것은 법과 원칙에 따라 진행돼야 국민이 납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 도주와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는 언론 사주를 구속하는 것은 법의 남용이자 언론을 탄압하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기배(金杞培) 사무총장은 당3역회의에서 "100일이 넘는 세무사찰과 공정위조사에, 수백명이 유례없이 샅샅이 조사했는데 증거인멸의 우려가 어디 있고, 언론사 사주가 어딜 도망가겠느냐"면서 "형법정신도 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지, 구속하는데 목적이 있는 건 아니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김 총장은 또 "사주구속과 언론왜곡은 민주주의에 큰 위협으로 인권을 존중하는 대통령이 그런 행위를 하지 않길 바란다"면서 "법원이 구속영장을 기각해 불구속 수사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말했다. 장광근(張光根) 수석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어떤 논리로도 언론사주 구속은 정당화될 수 없으며 이는 비판적인 언론인 제거와 편집권 침해로 진행될 것"이라며 "언론자유를 파괴하려는 권력의 시도에 맞서 끝까지 싸워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사회원로들의 성명이 이어지고 국제적인 비난이 쇄도하는데도 대통령의 언론압살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다"면서 "여야 영수회담이 성사되더라도 언론압살과 언론자유문제가 최우선 의제중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자민련 = 이번 검찰의 언론사주 영장청구에 대해 우려와 유감을 표시, 그간의 '신중론' 입장을 견지했다. 변웅전(邊雄田) 대변인은 논평에서 "우려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언론사와 사주들에게 부과된 세금추징은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돼야 한다는데 동의하지만 언론사주들이 그동안 국가와 언론창달에 공헌한 점을 고려, 이들의 사법처리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게 우리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언론사태가 사주들의 구속으로 이어져 국론분열과 사회갈등으로 증폭됨으로써 국가장래의 역기능성으로 작용하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민영규 김범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