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패망 '秘史'] (13) 'KDI 극비 보고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9년 봄 관변 연구소들은 대우관련 비밀 보고서를 잇달아 정부 요로에 제출한다.
"대우 워크아웃"의 화두를 던진 것은 노무라보고서였지만 관변연구소들은 이를 구체화시켜 논리적인 백그라운드를 제공했다.
보고서가 제출되고 대우의 단기자금 압박이 심해진 5,6월께는 대우에 대한 "특단의 조치설"이 파다했다.
금융연구원은 4월 중순 "대우 워크아웃의 경제적 영향"이란 극비 보고서를 청와대와 금감위에 제출했다.
대우사람들은 이 보고서가 서너달뒤 단행된 대우 해체의 근간이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우그룹의 특정회사(대우차를 지칭)가 워크아웃에 들어갈 경우 악영향보다는 기업구조조정의 불확실성이 제거돼 구조조정이 가속화돼 해외자본의 한국진출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썼다.
KDI는 이와 별개로 4월말 "대우와 현대그룹 구조조정 평가 및 개선방안"이라는 A4용지 12쪽자리 극비보고서를 작성했다.
당시 이규성 재경부장관, 이헌재 금감위원장과 새로 부임한 이기호 경제수석 등 세명에게만 "친전"으로 전달됐다.
3쪽짜리 요약본이 여당의 주요인사 10여명에게 건네지기도 했다.
KDI 보고서는 "대우의 재무구조가 98년중 심각하게 악화돼 부채비율이 모두 7백%를 웃돈다"면서 "대우는 공개된 98년 세전 순손실이 4천5백61억원이었지만 장부상거래로 부풀려진 투자자산 처분이익을 빼면 실제 순손실이 4조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또 부실우려가 있는 10개 대우계열사의 차입금이 97년 4조1천억원에서 98년 30조2천억원으로 급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자동차부문(대우차 쌍용차 대우자동차판매)의 통합 부채비율이 공시자료에선 2백70%였지만 재평가차익 현물출자액 상호보유지분 등을 제외하면 8백%를 웃돌고 대우중공업 경차부문까지 합치면 1천%를 상회한다는 것.
따라서 대우가 자구계획(15조2천억원)을 예정대로 실천해도 실질적인 부도상황이 지속되고 단순한 자산매각만으론 정상화가 불가능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현대는 대우와 달리 실물기반이 탄탄해 계획된 유상증자(12조원)를 실시하고 경기가 회복되어 준다면 급속히 개선될 것으로 평가했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