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막기 '고육지책' .. '하이닉스 5천억 신규지원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논란을 거듭하던 하이닉스반도체 지원안에 신규 자금대출 방안이 추가됐다.
"지원안 골격은 바꾸지 않을 것"이라던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이 돌연 입장을 바꾼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신규 대출을 포함한 새 지원안에 대해 다른 채권은행들이 합의해 줄지도 주목된다.
그럼에도 채권은행 대표회의 이전까지 은행들이 합의도출에 실패하면 하이닉스반도체는 결국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시각은 여전히 상존한다.
◇ 왜 바꿨나 =외환은행이 기존의 하이닉스 지원방안에 5천억원의 신규 대출을 포함시킨 것은 '출자전환 등 채무조정만으론 회생에 미흡하다'는 일부 채권은행과 투자자 등 시장의 시각을 반영한 것이다.
외환은행은 당초 "출자전환과 여신 만기연장 등 채무조정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주장했었다.
이 은행 한 관계자는 "기존의 채무조정안은 신규자금 지원효과를 볼 수 있는 받을 빚을 안받거나 기한을 연장해 주는 쪽에 초점이 맞춰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산업 한빛은행 등이 신규 자금지원론을 최근 들고 나오는 바람에 지원안이 충분한 것인지 등을 둘러싸고 적지않은 논란이 일었다.
정건용 산은총재와 이덕훈 한빛은행장은 "살리려면 더욱 확실하게 지원해야 한다"며 "외환은행 채무조정안 만으론 미흡하다"고 말했다.
박종섭 하이닉스 사장도 "대외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설 투자에 5천억원 정도의 신규 자금지원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채권은행인 산업 한빛은행 등이 당초 지원안에 반대입장을 밝히고 시장에서도 의문을 제기하면서 외환은행이 마련한 지원안이 채권은행단 회의에서 통과될지 여부가 불확실해졌다.
문제는 회의에서 부결되면 하이닉스는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점.
외환은행이 막판에 신규 자금지원을 포함시킨 것도 막다른 선택을 피하기 위해 다른 은행과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 과연 합의될까 =외환은행이 산업은행 등의 이견을 반영해 신규 자금지원을 포함시켰지만 이 수정안이 채권은행단 회의에서 통과될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산업 한빛 등을 제외한 상당수 은행들은 신규 자금지원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출자전환 등 기존 채무조정엔 동의할 수 있지만 신규 자금지원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물론 통과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일부 은행들이 반대하더라도 주요 채권은행들만 동의하면 통과되기 때문이다.
실제 산업 외환 한빛 조흥 국민 신한 등 주요 6개 채권은행의 채권비율은 75%에 달한다.
이들 은행만 의기투합하면 안건 통과선(75%)을 충족시킬 수 있다.
특히 이번에 합의가 안되면 하이닉스의 법정관리 행이 불가피하다는 것도 채권단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채권은행들은 6조5천억원의 부실채권을 안는 동시에 대손충당금만 1조9천억원을 더 쌓아야 한다.
전체 수출의 4%를 차지하고 1차 협력업체를 포함, 고용인원만 17만4천명에 달하는 거대회사 하이닉스반도체를 은행들이 포기하긴 쉽지 않다.
최근 채권은행들 사이에 "법정관리로 가면 공멸(共滅)이다. 하이닉스를 어떻게든 살려야 한다"는 공감대가 퍼지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채권은행 대표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채권은행들이 어떤 선택할지 주목된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