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은행의 외환 불공정거래와 관련, 재정경제부의 최종구 외화자금 과장은 "이번 일로 현물환 거래량이 축소되거나 거래 자체가 위축되는 일은 없을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그는 "달러 선물거래가 늘었던 것이 그 같은 요인이 포함됐다면 선물거래는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인의 도덕적 해이와 은행내부의 시스템적인 문제에 의해 발생한 문제"라며 "이번 일로 은행권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강화하는 움직임이 예상되고 자정의 계기로 삼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예전에 지방의 모은행 L과장이 외환 거래를 통해 엄청난 돈을 벌자 포지션 한도를 무제한으로 늘렸다가 은행이 손해를 입자 내부시스템 강화에 나선 것을 들어 이번 사건도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 과장은 아울러 "금감원에서 은행 감독차원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제도적인 문제를 고려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은행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로 보여 정책적으로 접근할 사안은 아니다"고 언급했다. 최 과장은 마지막으로 "정부는 환율 안정이 최우선 과제이며 이번 일로 외환시장이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시중은행의 한 딜러는 "지난해 달러선물 거래가 시작되면서 현물과 선물간 차익거래를 하는 것이 관례라는 일부 지적이 있으나 이는 전적으로 일부의 문제"라며 "관행처럼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시장에 참가하는 사람으로서 불쾌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해당은행에만 연관이 있을 뿐 대부분 딜러들은 그같이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다른 은행의 딜러는 "현물 시장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이라며 "해당은행의 외환거래는 위축되겠지만 전체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다만 선물시장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이미 선물회사를 통해 알려졌던 얘기고 대부분 은행은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선물거래를 막고 있다"며 "달러선물 시장의 유동성이 떨어져 사실 돈 벌기도 어려운 면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주택, 기업은행의 전직 외환딜러가 달러 선물 거래를 통해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가 있어 금감원이 조사에 착수했다. 주택은행의 6명 딜링팀은 현대선물과 한맥선물에 각각 2개씩 4개의 차명계좌를 개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달러선물 거래를 하면서 1억4,000만원의 부당이득을 취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선물 등을 이용한 불공정 거래로 보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한경닷컴 이준수기자 jslyd01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