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코스닥...이대론 안된다] (3.끝) '판치는 변칙투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닥시장이 대주주의 모럴 해저드와 주가조작 사건으로 피멍이 들고 있다.
주가 조작은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코스닥의 신인도를 추락시켜 시장 전체를 황폐화하고 있다.
여기에 법과 제도를 교묘히 피한 변칙.편법 투자가 어려운 시장을 더욱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다.
주가 조작은 결국 연루자가 쇠고랑을 차고 해당 회사가 시장의 엄중한 "심판"을 받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그럼에도 허술한 제도와 규정을 악용한 변칙 투자와 그에 대한 유혹은 마약처럼 끊어지지 않는다.
◇ 해외 CB 등 변칙발행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주식연계 채권은 '리스크 제로(0)' 상품이다.
이자가 보장돼 투자 손실을 입을 염려가 없는데다 발행 기업의 주가가 올라가면 그야말로 '대박'을 터뜨릴 수 있다.
주가 하락시엔 전환가격을 최대 액면가까지 낮춰주기 때문에 웬만하면 시세 차익을 낼 수 있다.
코스닥 기업도 자금조달 수단으로 해외CB BW 등의 발행을 애용하고 있다.
코스닥 등록기업은 지난해 해외CB와 BW를 통해 모두 8천7백30억여원의 자금을 조달한데 이어 올들어서도 지난 8월말까지 9천4백44억여원을 끌어들였다.
해외CB와 BW는 유가증권 신고서가 면제되고 외자를 유치했다는 홍보 효과도 있어 발행 회사로서는 달콤한 사탕이다.
그러나 주식 전환에 따른 물량 부담 등 조만간 닥칠 리스크는 고스란히 주주와 투자자들이 떠안아야 한다.
뿐만 아니다.
말만 해외 발행이지 실제 인수자들은 태반이 내국인이거나 검은머리 외국인(해외 주재 한국인)이다.
비테크놀러지가 대표적인 사례다.
대우증권 투자정보팀 조재훈 팀장은 "코스닥의 CB 발행 남발은 결국 수급 불균형을 일으켜 내국인 투자자가 특정 CB 인수세력의 전환 차익만큼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내부거래 =일부 코스닥 기업들은 유상증자 등 자금 조달에 앞서 입체적으로 주가 관리에 나선다.
주가에 따라 자금조달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때 내부거래가 흔히 애용된다.
대주주가 제3자 명의를 빌려 주식 매집에 나선다든가 창투사 등 기관투자가의 힘을 빌리기도 한다.
기관투자가는 그 대가로 금전적 사례를 받거나 호재성 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기로 하는 등 밀약 관계로 발전한다.
이런 은밀한 내부거래는 적발이 쉽지 않아 금감원 관계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지분 위장분산 =등록에 앞서 대주주가 차명 계좌로 주식을 관리해온 사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최근 동특의 전 회장인 김모씨는 장내 매수와 무상 증여를 통해 취득한 주식을 차명 계좌로 관리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H증권 한 관계자는 "상당수 코스닥 기업들의 대주주가 주식을 위장 분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특히 회사 내부기밀을 접할 수 있는 대주주 등이 차명 계좌로 주식을 관리한다면 그로 인한 피해는 순전히 일반 투자자의 몫"이라며 기형화된 시장 풍토를 개탄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