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동시다발 테러와 관련한 미국의 보복공격과 관련, "가능한 범위내에서 최대한 지원한다"는 기본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는 걸프전 당시에 지원했던 의료.수송.공병 등 비전투병력의 파병을포함, 적극적인 지원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미국의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보복공격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이날 오전 모처에서 극비리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미 지원방안을 집중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승수(韓昇洙) 외교장관은 이날 결정된 정부 기본방침을 토대로 19일 새벽(한국시간) 워싱턴에서 열리는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의 한미 외무장관 회담에서 우리 정부의 테러 보복공격 참여 범위를 집중 조율할 방침이다. 정부 당국자는 "어떤 상황에서든 테러행위는 용납될 수 없으며, 테러는 이미 국제법적으로 한 국가의 국내문제가 아닌 국제범죄로 규정되어 있다"면서 "가능한 한최대한 지원한다는 것이 기본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미 이번 테러로 우리 국민이나 교포들도 희생된 만큼, 이번 사건은 미국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당사자가 된 문제이기도 하다"면서 정부의적극 지원방침 배경을 밝혔다. 또 다른 당국자는 "그러나 아직 미국이 우리에게 구체적인 지원을 요청한 것은없다"면서 "정부의 지원범위는 미국의 구체적인 요청이 있을 18일 한미 외무회담 이후에나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미국이 어떤 요청을 해올지는 지켜봐야 겠지만 이에 대비한 내부검토를 이미 마쳤고 기본 방침도 세워져 있다"면서 "테러가 국제범죄라는 측면의 접근과 함께 한미 안보동맹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 당국자들은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부에 대해 이번 테러사건의 용의자인 오사마 빈 라덴의 신병을 3일안에 인도하라는 최후통첩을 전달키로 했다는 보도 등을 감안할 때 미국의 보복공격이 빠르면 이번주 중순께 있을 가능성이있다고 관측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