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들이 미국의 테러보복전 감행시 이를 군사적으로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나토는 지난 11일 '화요일의 참사' 직후 미국에 대한 공격이 외국 및 외국인의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이를 동맹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자위권을 발동해무력행동에 나서겠다고 천명했다. 그러나 막상 미국이 테러보복을 위해 준전시체제에 들어가자 나토 회원국들은테러 응징에 대해 신중론을 피력하는 한편 미국에 대한 무력지원 여부 및 방식에 대해 이견을 노출하고 있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 등은 미국이 군사행동을감행할 경우 이를 최대한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영국은 자국 영공 및 영해를 미국에 개방하겠다고 선언했으며 슈뢰더 총리 역시참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영국 내부에서는 테러 범인이 명확히 가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보복전에 나서거나 지원하는 것은 금물이라는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역시 슈뢰더 총리의 적극적인 대미 지원 입장에도 불구하고 야당을 중심으로 참전 여부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고 있으며 이번 테러 응징을 위해 결코 무력만을동원해서는 안되고 외교, 정치적 중재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우세해지고있다. 이탈리아는 파병을 명백히 거부했으며 이슬람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그리스 역시 참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안토니오 구테레스 포르투갈 총리는 "상상의 적을 향한 어떠한 도발"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나토는 이번 테러를 동맹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선언했으나구체적인 대미 군사지원 여부 및 수준에 대해서는 18개 회원국들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이라고 못박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현재까지 미국의 보복전을 군사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전혀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이번 테러로 인한 '문명충돌' 가능성을 우려했다. 여론조사 결과 회원국 국민들의 경우 영국 74%, 프랑스 68% 등의 비율로 테러에대한 무력 보복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리스 국민의 70%는 여전히 자국이 테러 응징전에 참여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언론들은 미국이 테러 범인을 명확히 하지 않은 채 이번 사태를 전쟁으로규정하고 준전시체제에 돌입하자 일제히 보복전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때문에 전문가들은 미국이 보복전을 전개할 경우 나토가 전적으로 미국을 지원하기는 어렵고 회원국들이 자율적으로 미국에 대한 지원 방식 및 규모를 결정할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파리=연합뉴스) 현경숙특파원 k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