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콤 민영화 물건너가나 .. 정통부.한전 사업영역 이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전력 자회사 파워콤의 민영화를 위한 지분매각 입찰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파워콤 사업범위 확대를 놓고 정보통신부와 한전의 입장 차이가 좁혀질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전은 파워콤 입찰 일정을 무기한 연기한 상태이고 이에 대해 입찰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업체들은 한전측에 조속한 입찰 재개를 요구하는 등 갈등이 커지고 있다.
◇정통부의 확고한 의지=양승택 정통부 장관은 18일 파워콤 업무영역 확대문제에 대해 "현재로선 허가하지 않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양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초 파워콤 민영화 계획은 사업영역 확대와 무관하게 잡혀있던 것인데 이제와서 사업범위 확대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민영화일정을 미루겠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하나로통신과 두루넷 등이 파워콤의 주요 고객인데 파워콤에도 인터넷접속서비스 업무를 허가해주면 고객들과 싸우는 결과가 된다"며 "그렇게 되면 파워콤의 회사가치가 더욱 떨어져 민영화에 오히려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 장관은 "통신산업 구조조정에서 파워콤의 역할을 기대했으나 굳이 참여하지 않겠다면 억지로 끌어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입찰 연기에 대한 업체들의 반발=한전측이 파워콤 매각 입찰 일정을 연기하자 입찰 참여의향서를 제출했던 업체들은 자본조달 등 입찰 준비작업을 거의 포기한 상태다.
두루넷은 지난 17일 파워콤 입찰과 관련,비상대책회의를 가졌으며,18일 "한전이 파워콤 입찰 일정을 무기한 연기한 것은 통신산업 강화정책에 역행한다"며 입찰 일정 조기 재개를 촉구했다.
두루넷 관계자는 "현재 소프트뱅크를 포함해 상당수 해외투자가들로부터 파워콤 지분 인수를 위한 투자유치 제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나 파워콤 입찰이 돌연 연기됨에 따라 대외신뢰도가 크게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전의 입장=파워콤의 사업 범위를 현재의 망임대사업자에서 초고속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기통신사업자로 넓혀줘야 한다는 것이 한전의 일관된 요구다.
한전은 정보통신정책심의회가 지난 8월말 이같은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자 당초 이달초께 입찰참여업체에 사업제안요청서(RFP)를 보내기로 한 일정을 무기한 연기했다.
한전은 이달말 예정된 정책심의회 2차회의 결과를 보고 일정을 재조정할 계획이나 현재 2차회의에는 파워콤 업무영역 확대문제가 상정돼 있지 않아 이마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