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열린 민관합동 경제대책회의에서 경제단체들은 경제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업활동을 제약하는 각종 규제를 없애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 등 선진국 경기침체로 수출이 20%나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항공기 테러사태까지 발생해 총체적 위기국면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경제단체들은 단기적으로 수출감소가 불가피한 만큼 내수를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출금리를 인하하고 재정지출을 늘려 수요를 진작시키고 유가불안을 해소하기위해 원유수입관세를 낮추는 등 경기부양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자금시장에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고 환율도 안정적으로 운영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무역협회는 미국 테러사건이후 집계된 수출피해액만 4백36건, 33억6천8백만달러에 달한다며 내년도 예산편성시 수출보험지원 예산의 확대와 무역대금 상환연기및 할증료 완화 등의 지원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경총은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될 경우 휴일수와 초과근로시간 할증률이 일본보다 높아져 기업의 생산 의욕을 떨어뜨리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고용보험 등 기업들이 부담하는 사회복지비용도 지난 97년 이후 5조원이나 늘었다며 이를 줄여야 한다고 건의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기업의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기업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이를위한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