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5일 '이용호 게이트'와 동방금고 불법대출 사건은 깊은 연관이 있으며 그 배후에는 이경자(李京子) 동방금고 부회장으로부터 5천만원 수수혐의를 받고있는 김형윤 전 국정원 경제단장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국정조사를 실시한 후 특검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당 권력형비리진상조사특위의 정형근(鄭亨根) 위원장은 "이번 사건의 핵심은 김형윤 전 단장이며 그가 배후에서 모든 것을 기획, 조정한 의혹이 있다"며 "동방금고 불법대출 사건, 이른바 '정현준 게이트'도 김씨가 깊숙이 개입돼 있으며 두 사건은 별개의 사건이 아니라 김씨를 매개로 한 동일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정 위원장은 그러나 "사건 관련자들이 모조리 외국으로 도피해 검찰 수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따라서 특검을 해본들 크게 나올 게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장광근(張光根) 수석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이용호 리스트' 외에 '김형윤 리스트'가 없으리란 보장이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재오(李在五) 총무는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이용호 게이트'와 '정현준 게이트' 등 서울지검 특수2부가 조사한 사건중 미궁에 빠진 사건들은 모두 이용호 파생사건"이라며 "국회 국정조사를 통해 사건의 가닥을 잡은 뒤 특검으로 넘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 총무는 24일 자민련 이완구(李完九) 총무와 전화통화를 갖고 "이용호 의혹사건의 전모를 밝혀내기 위해선 국정조사를 먼저 실시하고 특검제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지난번 옷로비 사건처럼 특검의 수사결과를 검찰이 뒤집고 이를 재판부가 다시 뒤집는 부끄러운 전철을 밟아선 안될 것"이라며 철저한 특검제 실시를 주문했다. 지난 91년 여운환씨를 구속, 수사했던 홍준표(洪準杓) 전의원은 "이번 사건은 기본적으로 '조폭 게이트'"라며 "여운환은 지난 92년 구속당시까지는 광주를 거쳐간 검사나 K고 출신검사들 하고만 친교가 있었으나 96년 복역후 광주에서 서울로 이사, 상계동에서 할인마트를 운영하면서 돈을 벌고 인맥을 넓혔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