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한국전력 본사에서 실시된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보령복합화력발전소 발전설비 선정과정 전기요금 누진제 및 대북전력지원 문제 등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한나라당 맹형규 의원은 "지난 90년대 초에도 한전은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GE사의 가스터빈을 납품받았다가 고장나는 경험을 겪었다"고 지적한뒤 "보령복합화력발전소에서도 같은 실수를 범해 한전은 가스터빈 시제품 시험장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보령발전소의 고장수리와 완공이 1년 이상 지연된 만큼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며 "하자있는 제품을 한전에 판매하고도 보수에 늑장을 부리고 있는 알스톰사에 대해서는 향후 국내 발전설비 입찰에 응찰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김택기 의원은 전기요금 누진제와 관련,"누진율 산정에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데다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대응하는 전기요금 현실화도 전제되지 않아 국민적 설득력을 잃고 있다"며 무리한 정책추진을 질타했다. 자민련 이재선 의원은 "누진제로 인한 요금부담의 형평성 논란이 일자 한전은 전기요금 체계 개선연구 용역결과에 따라 주택용 전기누진제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했는데,이는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하지 않은 전형적인 뒷북행정"이라고 공격했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