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계열사의 분식회계를 벗겨낸 당국의 작업은 세가지 단계를 거쳤다. 첫째가 1999년 8월 대우의 워크아웃이 결정되면서 그 다음달부터 삼일회계법인이 실시했던 실사결과다. 이 때부터 대우 계열사간 자금거래에 공식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계열사간 채권.채무액이 일치하지 않았다. (주)대우를 중심으로 자금을 일괄 조달한 뒤 돈이 모자라는 회사에 나눠 주다보니 그럴 수밖에 없었다. 99년 8월을 기준으로 작성된 삼일의 실사결과는 대우가 만든 재무제표와 42조9천억원이라는 엄청난 격차를 만들었다.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숫자였다. 공중으로 사라진 42조9천억원이라는 돈을 규명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나선 것이 두번째 작업이다. 99년 12월부터 2000년 9월까지 '대우그룹 분식회계 조사.감리 특별반(반장 이성희 당시 회계감독국장)'이 현장조사를 포함한 특별감리를 벌였다. 30여명의 특별반이 밝혀낸 분식회계 규모는 22조9천억원. 나머지 20조원은 삼일측의 실사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했기 때문이라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세번째는 지난 2월 검찰이 대우 계열사 주요 임원들을 분식회계 혐의로 기소할 때이다. 검찰은 수사과정에서 (주)대우 대우자동차 대우중공업 대우전자 대우통신 등 5개사의 97년도 분식회계 규모가 19조4천6백90억원, 98년도는 21조6천6백71억원이었음을 밝혀냈다. 검찰은 이를 합해 40조원이 넘는 회계분식을 했다고 발표, 한때 금감원 특별감리 결과와 혼선을 빚기도 했다. 검찰의 발표는 일종의 노름판 판돈 계산하는 것과 비슷했다. 전년도부터 계속된 분식을 2중으로 계산했다. 대우의 분식회계 유형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역시 부외부채였다. 금감원은 대우의 부외부채 규모가 15조원, 받을 수 없는 부실채권을 그대로 장부에 올린 돈이 4조원, 가짜 재고자산이 3조원, 가짜 연구개발비 등이 1조원이라며 회계분식의 내용을 밝혔다. 분식은 계열사간 또는 계정과목간 잦은 내부거래로 복잡하게 이뤄졌다. (주)대우의 경우 사업부문별로 거래를 빈번하게 함으로써 조작사실을 숨겼다. S회계법인 관계자는 "대우의 회계분식은 매우 복잡하지만 간단하게 말하면 회계장부에 부채와 비용을 실제보다 적게 써 이익을 부풀린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최명수 기자 m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