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2.6%에 그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이번 전망치는 지난 5월 3.2%로 전망했던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0.6%포인트나 하향조정한 것이다.그나마 미국 테러사태에 따른 영향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전망치여서 실제 성장률은 이 보다 더 낮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물론 과거 통계에 비추어 보면 세계경제 성장률 2.6%는 그리 낮은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겠으나 지난해의 4.7% 고성장에 뒤이은 것이어서 체감불황은 더욱 클 수밖에 없는데다 내년도 회복전망이 불투명하다는데 문제가 있다.IMF는 이번 전망에서 미국 테러사태에 따른 충격에도 불구하고 각국이 금융완화 등의 대응노력을 적절히 펴고 있어 내년 성장률이 3.5%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그러나 테러사태에 따른 충격은 아직 정확히 가늠하기 힘든데다 심리적 불안감과 주가하락에 따른 역 자산효과로 소비위축은 불가피해지고 있어 이런 낙관을 불허하고 있다. 이는 OECD의 존스톤 사무총장이 "테러사태가 갖는 영향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향후 수 분기에 걸쳐 세계경제 성장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한데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의 3대축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일본·유로경제권 모두가 동시에 침체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돼 돌파구를 찾기가 힘들다는 점에서 더욱 세계경제의 조기회복을 점치기 힘들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성장률이 지난해 8.8%의 3분1에도 못미치는 2.5%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내년에는 4.5%로 성장이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 또한 반도체 경기회복과 소비 및 투자심리 안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낙관만 하기가 힘들다. 이렇게 볼 때 이제 적어도 내년 상반기중 세계경제 회복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경제운영을 하지 않으면 안되게 됐다. 세계경제 회복지연으로 격감하고 있는 수출이 되살아 나기는 더욱 힘들게 됐다는 점에서 내수진작의 필요성은 한층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통화신용정책과 재정정책 등 거시 경제정책은 물론이고 미시적인 정책 운영에 있어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회에 제출돼 있는 내년도 예산안과 세법개정안은 테러사태 이후의 여건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회심의 과정중 대폭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