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5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민주당은 정치개혁과 부패척결에 대한 대통령의 단호한 입장과 복지예산 확대를 높이 평가한 반면 한나라당은 대통령의 현실 진단이 잘못됐다면서 특히 재정확대 정책은 자유시장경제 원칙에 위배되는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 민주당 = 전용학(田溶鶴)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미국 테러참사 이후 불안심리가 확산되는 등 국제환경 변화속에서 지속적인 국정개혁 추진과 국가경쟁력 강화등 정책방향에 대해 소상히 밝힘으로써 국민들이 안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사실상 국정 마무리해인 내년에도 정치개혁과 부패척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 보완 등 제기된 현안에 대해 단호히 입장을 밝힌 것을 높이 평가하고 당으로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경기를 부양하고 복지분야 예산을 확대 편성하는 것은 적절하다"면서 "서민층과 중산층에 복지혜택이 확대될 수 있도록 견실하게 재정운용을 해야할것"이라고 주문했다. 정세균(丁世均) 기조위원장은 "현시점에서 대통령께서 할 수 있는, 해야할 말씀을 모두 한 것 같다"면서 "이를 계기로 금융비리 등 사회병리현상을 과감히 척결해야 하며, 야당은 정쟁을 지양하고 경제살리기에 동참해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해야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여권의 실정은 인정하지 않은 채 국민과 야당을 나무라는 듯한 내용으로 일관됐다"며 "이 시기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시정연설"이라고 혹평했다. 그는 "현 사태에 대해 반성과 자성을 하고 성역없는 수사를 약속하면서 쓰러지는 경제를 세우겠다는 자세를 밝히면 야당도 협력하겠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안이한 대통령과 주변의 인식에 자괴감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만제(金滿堤) 정책위의장은 "경기부양을 빌미로 한 재정지출 확대 발상은 내년 총선을 의식한 선심성이자 작은정부 및 자유시장경제 원칙에 맞지 않는 것"이라며 "정부를 팽창시키는 사회민주주의적 정책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 테러사태 이후에도 감세정책을 발표했다"며 "올해 우리의 국민부담률이 27.5%로 국내총생산이 3만달러를 넘는 미국이나 일본의 국민부담률 수준에 이르는 만큼 국민부담률을 늘리는 재정확대 보다는 민간부분의 활동 활성화를 통한 경기부양을 위한 감세정책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choinal@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상인 최이락 전승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