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아프간 공격에도 불구, 세계 금융시장이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임에 따라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은 테러와의 전쟁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특별 경기대책을 마련하기보다는 기존의 경기부양책을 그대로 집행할 가능성이 높다. 세계경제 회복을 위한 선진7개국(G7)의 일괄 부양책도 없을 전망이다. ◇ 미국 =부시 행정부는 9.11 테러 여파로 경기 침체가 가속화할 것에 대비, 7백50억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하고 있다. 공습에도 달러화 가치가 예상보다 견고하고 국제유가 흐름도 안정적이어서 미국은 부양 규모를 크게 확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도 내달 11일 열리는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전에 추가로 금리를 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유럽연합.일본 =유럽중앙은행(ECB)은 지난달 17일 전격적으로 기준 금리를 0.5%포인트 내린 후 추가 금리인하를 주저하고 있다. 하지만 항공업계가 테러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생산성 둔화, 내수 부진, 실업자 증가로 유럽 경제가 몸살을 앓고 있어 이달 중 다시 한번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 유로권 최대 경제국인 독일의 지난 9월 인플레가 2.1%를 기록, ECB의 억제 목표치인 2%에 근접한 것도 ECB 통화정책의 운신폭을 넓혀주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ECB 기준금리가 내년 1.4분기까지 0.5%포인트 더 내려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본은 제로금리 상태여서 '금리 카드'를 쓰는데 한계가 있다. 모건스탠리 딘위터의 이코노미스트 요아킴 펄스는 '일본의 금리 카드가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