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택합병은행의 임원인사에 이은 부서장급인사를 앞두고 국민은행 부서장들이 술렁이고 있다. 주택은행에 비해 규모가 큰 데도 국민은행측이 맡는 자리수는 주택은행 보다 적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14일 두 은행 합병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12일 단행된 22개 사업본부 가운데 워크아웃과 프라이빗뱅킹을 제외한 20개 사업본부에 대한 인사에 이어 이번주말까지88개 부서에 대한 인사가 뒤따를 예정이다. 사업본부장 인사는 합추위가 '사업규모가 큰 은행에서 본부장을 맡아 통합을 수행한다'는 원칙을 제시하고 두 은행 임원진을 모두 기용해 주택은행은 물론 국민은행도 `양적 열세'를 빼고는 대체로 수긍하는 분위기다. 합병은행장을 내지 못한 국민은행측에 수석부행장을 맡겼고 사업이 중복되는 자회사 부문은 중도인물인 합추위 간사위원에 맡겨 구조조정을 하도록 하는 등 '공정'을 기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이다. 하지만 부서장급 인사를 앞두고 국민은행측은 88개 부서장 가운데 과연 몇 자리나 차지할 수 있을 것인 지를 놓고 바싹 긴장하고 있다. 합병은행이 추구하는 사업본부시스템은 지난 99년부터 이를 도입한 주택은행측에는 익숙하지만 국민은행측에는 낯설 뿐만아니라 이 체계에 맞춘 부서장급 수도 주택은 54명인데 비해 국민은 40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22개 사업본부 업무분장에 맞게 부서개편을 하는 데도 주택측은 별다른 변화가 없지만 국민측은 한개의 부서가 여러 본부 소속으로 나뉘는 '이산가족' 신세가 될 것으로 예상되자 침통해 하고 있다. 국민은행 한 부서장은 "우리 은행 규모가 더 큰데도 합병은행의 모든 시스템이 주택은행 위주로 가다보니 열세로 내몰리고 있다"며 "임원수도 주택은행 보다 적은데다 부서장수도 적어지지 않을까 크게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합추위 관계자는 "임원진 인사는 일단 두 은행 전 임원이 나눠 맡는 형태로 이뤄졌으나 내년 3월에는 통합성과나 실적 평가를 통해 개편될 것"이라며 "하지만 부서장급 인사는 능력을 최우선에 두고 실시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본점 부서장이라고 다시 부서장을 꼭 맡는다는 보장이 있는 것이아니며 능력에 따라 소속 은행에 관계없이 일선 영업점과의 교차인사도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한승호기자 h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