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한일 양국 정부는 그동안 경색됐던 양국관계의 전면정상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는 지난 7월 일본측의 역사교과서 재수정 거부에 대한 항의차원에서 단행한 대일 추가문화개방 중단, 합동훈련을 포함한 군사협력 중단 등 대일 보복조치의 철회를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한일외무장관의 연례방문, 한일각료간담회 재개 등 고위당국간 협의를 다시 시작함으로써 양국 외교관계의 복원도 시도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는 일시에 모든 관계를 전면 복원하는 대신 이번 정상회담의 후속조치 협의과정을 지켜보며 단계적으로 관계정상화를 꾀할 방침이다.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내년 월드컵 공동개최를 앞두고 마냥 양국관계를 경색국면으로 끌고 갈 수 없는 부담이 있는데다 이번 고이즈미 총리의 방한이 `이탈'된 한일관계 복원의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진통끝에 이뤄진 고이즈미 총리의 방한결과에 대한 비난여론이 만만치 않은 상황에서 양국관계가 원만히 정상화될지 여부는 `말'이 아닌 `행동'이 뒤따르는 일본측의 성의있는 후속조치가 시행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이 이번 방한을 통해 제안한 한일 역사공동연구기구 설치 및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 대안 시사, `꽁치분쟁' 해결을 위한 고위급협의 개최, 양국 국민교류 활성화를 위한 무비자 입국 추진 등의 후속조치 결과가 나와야 한다. 정부 당국자도 "한번 정상회담을 열었다고 무조건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는 것은 아니다"면서 "잘못된 역사기술을 바로잡기 위한 전제로 구성될 양국 역사공동기구설치 추진 등의 과정을 보면서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우선 현안인 `꽁치분쟁' 해결을 위해 조만간 양국의 차관보급 이상이 참여하는 외교.수산당국간 고위급 협의 과정에서 일본측이 성의있는 꽁치분쟁 해결책을 제시할 지 여부가 양국관계 복원의 1차적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민간 학자들에게만 맡길 경우 `실행력'을 담보할 수 없다는 차원에서 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민.관공동기구로 출범될 양국 역사공동연구기구의 원만한 구성과 활동내용, 범위도 한일관계의 미래를 좌우할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양국 정상간에 원칙적인 공감을 이룬 일본 단기방문(30일이내) 한국인에 대한 비자면제, 서울-하네다간 셔틀기 운항 등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상당히 진통이 예상되는 양국 국민교류 활성화 방안의 논의내용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