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서비스산업의 생산성 향상이 제조업 고부가가치화는 물론이고 고용창출과 성장잠재력 배양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볼때, 정부와 여당이 마련한 서비스산업 지원방안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서비스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는 당위성에는 전혀 이의가 없으며 오히려 비생산적인 업종이라는 그동안의 잘못된 편견을 하루빨리 버려야 마땅하다. 외환위기 이후 각종 규제가 철폐됐는데도 불구하고 대출 보증 정책자금지원 등에서 아직도 서비스산업에 대한 차별적인 관행이 뿌리 깊게 남아 있는 우리 현실을 감안할 때 서비스산업에 대한 총액대출한도 포함,유통합리화자금 조건완화,임시투자세액공제 적용대상 확대 등과 같은 금융·세제지원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그러나 기업은행이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서비스산업에 지원하고 신용보증기금이 특별보증을 선다는 것은 다른 산업과의 형평성에 어긋날 뿐 아니라 대출위험을 몽땅 정부가 지게 된다는 점에서 달리 생각해볼 점이 없지 않다. 오늘날 서비스산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서비스산업은 제조업과 함께 우리경제를 이끌어 가는 양대 축으로서 지난해 총고용의 61.1%,국내총생산(GDP)의 49.0%를 차지할 정도로 급성장했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서비스산업의 고용창출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당면한 불황의 여파가 아니라도 제조업의 자동화와 해외이전 추세로 인해 고용문제가 갈수록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서비스산업 육성에서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문제는 이처럼 중요한 서비스산업의 생산성이 선진국과 비교해선 물론이고 국내 제조업에 비해서도 형편없이 낮다는데 있다. 한국 생산성본부에 따르면 국내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미국 서비스업의 43%,국내 제조업의 65%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같이 낮은 서비스산업 생산성은 당장 국내 제조업의 생산원가를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세계화 추세에서 우리경제 전반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사정이 그렇다면 정부당국은 무작정 돈만 쏟아부을 것이 아니라 지원대상과 지원방식을 잘 선별해서 지원해야 한다. 유통 숙박 음식료업 등 전통적인 분야보다 문화·엔터테인먼트 관광 레포츠 물류 디자인 실버산업과 같은 신규사업 쪽에 집중 투자해야 하며 지원내용도 기업정보화와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