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회장은 해외의 한적한 지방도시에 머물며 병원을 오가는 것 외에는 회고록에 매달리는 비교적 단조로운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행적이 드러난 홍콩 프랑스 독일 싱가폴 수단 베트남 등은 잠시 들른 곳일 뿐이라는 전언이다. 측근에 따르면 김 회장의 건강은 매우 좋지 않은 상태다. 위장병과 만성 경막하혈종으로 잦은 복통과 두통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천부적으로 낙천적인 기질을 갖고있지 않았더라면 진작에 "무너지고 말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김 전회장의 심경은 편지에서 잘나타나듯 "일방적인 매도"에 대한 슬픔과 분노로 집약된다. 김 전회장은 물론 분식회계와 BFC를 중심으로 한 탈법적 자금거래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이 자신을 비롯한 특정인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나라의 중추기업으로 성장한 대우를 어떻게든 존속시키려는 행위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해외 재산도피 부분에 대해서는 도저히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 전회장은 모든 책임은 자신에게 있으며 대우 임직원들은 "피와 땀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묵묵히 소임을 다해온"사람들로 옹호하고 있다. 이 때문에 김 전회장은 강병호.장병주 전 (주)대우 사장등 1심공판에서 중형을 선고받은 임직원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몇번이나 서울로 돌아갈까 고민했지만 자신의 귀국이 부하들의 재판에 결코 이롭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주저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전회장은 편지에서도 "참을 수 없는 감정을 드러내기 보다는 절제된 행동으로 모든 것을 기억하며 기다리고자 한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있다. 측근은 또 김 전회장이 오랜 유랑생활을 거치면서 정신적으로 많이 "원숙"해졌다고 전했다. 대우 해체에 따른 허탈감과 우리 사회의 혹독한 비난을 힘겨워할 때도 있지만 "대우의 성쇠에 관한 진실이 언젠가는 밝혀질 것"이라는 "믿음"을 위안삼고 있다는 것이다. 조일훈 기자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