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와 주력 사업의 정지로 코스닥 퇴출위기에 몰린 한국디지탈라인의 처리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24일 코스닥위원회에 따르면 한국디지탈라인에 대해 자구계획 이행 여부를 심사한 결과 퇴출 사유를 대부분 해소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디지탈라인은 이에 따라 지난 4월 이후 6개월 이상 끌어온 퇴출 논란을 불식시키고 코스닥 시장에서 다시 정상 거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부실기업 퇴출을 강력하게 추진해 온 코스닥위원회는 다산에 이어 또 다시 퇴출 의지에 제동이 걸린 꼴이 됐다. 사실상 알맹이 없는 이름뿐인 회사로 존속돼 온 기업에 대해서도 아무런 정책적인 도구를 활용할 수 없는 무력감을 드러낸 셈이다. 증권가에서는 지난 7월 퇴출 결정을 받은 다산이 법원에 제기한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진 게 적지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코스닥위원회는 이에 앞서 지난 22∼24일 3일동안 이 회사의 주식 거래를 정지시켰다. 지난 20일 종가는 8백60원이다. 한국디지탈라인은 자구책의 일환으로 지난 20일 이사회를 갖고 옛 계열사였던 동방상호신용금고 등 9개 신용금고의 대출 3백18억원을 내달 1일자로 출자전환키로 했다. 동방금고는 한국디지탈라인 대출 2백20억원을 주당 3천1백80원,영풍금고 등 6개금고는 주당 2천원,새누리금고는 주당 1천5백원에 출자전환키로 했다. 한국디지탈라인은 또 지난 19일 김용석 대표 등 37명이 오는 27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31억원을 출자하는 내용의 유가증권신고서를 금융감독원에 제출했다. 유상증자 물량은 총 4백18만9천주로 발행가는 기준가에서 10% 할인된 7백40원으로 정해졌다. 김 사장이 10억원,신한금고가 2억원을 출자하기로 했다. 또 개인들은 2억원을 출자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1천만원에서 5천만원가량을 배정받게 된다. 한편 한국디지탈라인은 지난해 10월23일 '정현준게이트'에 휘말려 부도처리된 후 지난 4월부터 신용금고 등 채권금융기관과 개인채권자를 대상으로 사적화의를 진행시켜왔다. 한국디지탈은 올해 1월부터 영업활동이 정지됐다가 8월 들어 중국회사 등으로부터 5억원 등 2건의 전사적자원관리(ERP) 관련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지난 10월9일 당좌거래를 재개했다. 한편 회사측은 내달 30일 임시주총을 열어 회사명을 바꾸고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새로운 사업목적에 추가할 예정이다. 오는 27일 들어오는 유상증자금 31억원의 일부를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사용할 것이라고 회사 관계자는 밝혔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