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마케팅' 열기] 스포츠 톱스타 '밀리언 달러' 시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스포츠 스타들의 '밀리언 달러'시대가 활짝 열렸다.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활약중인 박찬호는 이미 수백억원대의 수익을 올리는 '갑부'가 됐으며 미국LPGA투어에서 활약하고 있는 한국여자골퍼들도 몇몇은 수십억원대의 '돈벼락'을 맞고 있다.
얼마전 삼성경제연구소는 한국여자골프를 '세계에 내놓을 수 있는 한국의 10대 경쟁상품'으로 선정했다.
그만큼 한국여자골프가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추었다는 반증이다.
미LPGA투어의 경우 앞으로 2개 대회만 치르면 올시즌 공식대회는 모두 끝난다.
현재까지 상금랭킹 10위안에 든 한국선수는 박세리(2위) 김미현(6위) 두명이다.
박세리는 30일 현재 시즌상금이 1백53만3천9달러에 달한다.
올해 20개 대회에 출전한 박세리의 총타수는 5천2백6타.
상금액을 총타수로 나누면 박세리는 1타당 2백94달러,약 38만1천43원을 벌었다는 계산이다.
한번 스윙에 40만원 가까이 번 셈이다.
세계 최고의 골퍼인 타이거 우즈는 어떤가.
우즈가 올들어 벌어들인 상금은 5백56만8천7백77달러.
18개 대회에서 기록된 우즈의 총타수는 4천9백58타.
우즈는 1타당 1천1백23달러,약 1백45만3천4백원을 벌어들였다.
'귀하신 몸'이라는 수식어가 딱 들어맞는다.
'코리안 특급' 박찬호의 경우는 매 경기에서 상금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연봉개념으로 따져보자.
그의 올해 연봉은 약 1천1백만달러(보너스 포함).
그는 올해 15승을 거두었으므로 1승당 73만달러,약 9억5천만원을 번 셈이다.
투구수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 박찬호는 공 한개를 던질 때마다 약 3백40만원을 번 것.
스포츠 스타들은 물론 오늘이 있기까지 피나는 노력이 있었다.
그것을 인정한다 해도 그들이 한 타 또는 한 투구로써 손에 쥐는 액수는 상상을 초월한다.
'스포츠 스타=부(富)'의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