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心 수그러든 한나라..."정책혼선" 당내불만 고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용호 게이트'등 각종 '권력형 비리'를 폭로하며 거대야당의 위세를 과시했던 한나라당이 '10·25 재보선'이후 주요 현안에 대해 당론을 정하지 못한채 갈팡질팡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최근 선심성 예산이라며 비판해 왔던 2차 추경예산은 통과시키기로 방향을 선회했다.
또 이용호 G&G그롭회장의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도 철회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따라 당안팎에서 '정책 일관성 없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당 예결위 간사인 이한구 의원은 여야가 2차추경안을 합의처리키로 한데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이 의원은 30일 "선심성 예산을 따지고 막는게 민생정치 아니냐"고 반문하고 "추경안 처리 시한까지 합의하면 예결위는 뭣하러 있느냐"라며 당지도부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당 권력형비리진상조사특위가 '이용호게이트'에 대한 국정조사 방침을 철회키로 알져진 것에 대해서도 당내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한 당직자는 "그동안의 권력형 비리폭로가 단순히 재보선용이었다는 것을 시인하는 셈"이라는 불평을 토로한뒤 "정부 감시라는 야당의 고유업무를 망각한 것 아니냐"고 따졌다.
한나라당 정책위는 '지역및 직장의보 통합 백지화'를 골자로 한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못하고 있다.
"전산망을 다시 바꿔야 하는 엄청난 혼란이 야기된다"(김홍신 의원) "대안도 없이 백지화하면 되느냐"(박희태 부총재)는 등 반대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나, 당지도부가 뚜렷한 방침을 내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형제 폐지안'의 경우엔 정책위 관계자들 사이에 이견이 맞서 감정대립 양상까지 보이고 있다.
"수(數)의 정치를 하지않겠다"는 이회창 총재의 발언이후 불거지는 야당의 혼선이 어떻게 정리될지 주목된다.
김형배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