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르면 내년 2월부터 오피스텔의 용적률을 8백%에서 5백%로 줄이겠다고 밝힘에 따라 주택건설업체들이 주거형 오피스텔의 공급 시기를 대폭 앞당기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용적률 강화조치가 시행되기 이전에 사업을 시행해야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들어 오피스텔 주상복합아파트 등 수익성부동산을 활발히 공급했던 대우건설은 현재 추진중인 오피스텔의 분양을 서두르기로 했다. 강남구 역삼동에서 내년초 공급할 예정이던 오피스텔 '디오빌Ⅵ' 등 일부 사업장의 사업 승인을 최대한 앞당겨 올해말까지 받기로 했다. 대우건설의 최원철 과장은 "일정상 올해말까지 서울시에 건축허가를 접수시키면 기존 8백% 용적률을 적용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두달 동안 사업속도를 높이기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G건설도 시공권 수주를 벌이던 사업장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사업시행을 앞당길 수 있는 곳은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다. LG건설의 노형균 차장은 "서울시의 조치는 앞으로 서울시내 상업지역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을 짓지말라는 얘기로 해석할 수 있다"며 "현재 사업을 검토중인 물량중 내년초까지 사업승인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서둘러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주거형 오피스텔의 공급이 사실상 힘들어지면서 올해말 기존 용적률을 적용해 공급되는 오피스텔에는 수요자들이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힘입어 이미 공급된 주거형 오피스텔의 가격도 희소가치가 높아지면서 상승곡선을 그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내집마련정보사의 김영진 사장은 "비록 연내 공급될 주거형 오피스텔의 희소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부동산 경기가 전반적으로 꺾이는 추세인 만큼 수익성이 보장되는 곳으로 투자 대상을 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