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은 경기침체에 대한 거시정책 대응이 재정지출 확대와 금리인하 부분에서 대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일 `실물 및 금융경제 동향' 자료를 통해 한국은 주로 재정지출확대에 의존하면서 금리인하를 병행하는 반면 미국은 주로 금리인하책을 활용하면서 재정흑자 기반을 토대로 감세정책을 도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한국은 지난 9월3일 5조1천억원, 지난 12일 2조원 등 두차례에 걸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키로 하면서 재정집행을 활성화해 예산불용액과 이월액을 최대한 억제하는 재정확대 정책을 주(主)로 하고 있다. 예산불용 및 이월액 규모는 98년 13조6천억원, 99년 11조8천억원, 2000년 8조2천억원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데 올해는 이같은 정책에 따라 감소폭이 더욱 커질전망이다. 반면 올들어 한국은 총 4차례에 걸쳐 콜금리 인하를 단행했지만 5.25%에서 4%로1.25%포인트 내리는데 그쳐 금리인하 정책은 종(從)에 불과했다. 반대로 미국은 금리인하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올해들어 연방기금금리를 모두 9차례에 걸쳐 6.5%에서 2.5%로 4% 포인트나 인하했다. 미국은 이와함께 재정흑자 기조를 활용해 하반기중 국내총생산(GDP)의 1%인 1천억달러의 세금을 환급하고 향후 11년간 1조3천500억달러의 감세안을 확정하는 등 감세안을 부가책으로 쓰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joo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