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일자) 교육자다운 해결방안 모색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교직사회를 흔들어놓고 있는 갈등과 혼란은 총체적 위기에 처한 우리의 교육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
초등교사 충원방안에 반대해 동맹휴업에 들어간 교대생들은 지난 1일 자진유급을 결의하는 등 강경일변도로 치닫고 있다.
교원성과급제 도입에 반발해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에서 대규모 '연가 집회'를 갖는 바람에 학교에서 수업결손이 빚어졌고 교육부는 집회참가 교사 7천여명에 대한 징계방침을 밝혀 마찰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도 교원정년환원을 주장하며 오는 5일 여의도에서 5만명의 교사가 참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것이라고 한다.
이런 가운데 전국교수노조준비위원회도 오는 10일 서울대에서 노조출범식을 강행할 예정이어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이유야 무엇이든, 머리띠를 두른 현직교사들이 거리에 나서 과격한 구호를 외치고 예비교사인 교대생들이 총장실 점거 농성을 벌이는 살벌한 모습을 보면서 학부모들이 느끼는 감정은 한마디로 교육의 앞날이 암담하다는 것이다.
물론 오늘날의 갈등을 초래한데는 교육당국의 책임이 크다고 하지 않을수 없다.
개혁정책을 추진하면서 권위주의적인 자세로 일관해 교사들을 소외시킨 면이 없지 않다.
교원수급방안만해도 주먹구구식 예측으로 분쟁의 소지를 제공했고 교원성과급제도 역시 정당한 평가시스템이나 마련해놨는지 의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정부의 교육개혁안이 그렇게 전면 부정해야할 만큼 엉터리인지 교사들에게 되묻지 않을수 없다.
초등교사 확충방안만 하더라도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기존 교대생을 1백% 임용하고도 모자라는 4천여명을 중등교사 중에서 한시적으로 충원하겠다는 것인데 이를'결사저지'하겠다는 것은 집단이기주의라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성과급 지급 문제 역시 오늘날 모든 직종에 경쟁원리가 도입되고 있는 마당에 교직이라고 해서 업무평가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라고 본다.
우리가 더 크게 걱정하는 것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자들이 비교육적 방식을 동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고도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랑과 인내심을 가장 큰 덕목으로 삼아야할 교사들이 학생을 볼모로 하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시키려 한다는 것은 결코 용납될수 없는 일이다.
교사와 교육당국은 더이상 힘겨루기에 에너지를 소비하지 말고 하루빨리 절충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