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투데이] 아시아 빈곤퇴치위한 국제협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시아 지역은 지난 30년간 경제 및 사회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했다.
인권도 이에 못지 않게 개선됐다.
절대빈곤에 시달리는 아시아인 비중은 30년전 절반을 넘었으나 이제 3분의1로 줄어들었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들도 전체의 40%에서 70%로 높아졌다.
하지만 모든 아시아 국가들이 이같은 성공의 열매를 공유한 것은 아니다.
경제 및 사회적 격차가 엄연히 존재한다.
발전속도에도 많은 차이가 난다.
오는 2015년까지 절대빈곤층을 절반 이하로 줄이겠다는 국제사회의 목표는 아시아 지역에서 어려운 숙제로 남아 있다.
전세계 빈곤층의 3분의2가 여전히 아시아 지역에 밀집돼 있다.
이 때문에 전세계 빈곤을 없애기 위해서는 먼저 아시아 지역의 가난부터 몰아내야 한다.
현실에서 빈곤은 다면적이다.
가구의 수입규모로만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가난은 음식 주거환경 교육 건강 직업만족도 등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하는 문제다.
빈곤층은 일반적으로 도시 외곽에 거주한다.
교육기회도 거의 없으며 건강 등의 면에서 정부혜택도 제대로 받지 못한다.
빈곤은 성차별을 더욱 심화시킨다.
가난은 남성보다 여성의 희생을 더 강요한다.
교육 고용 상속 등 모든 기회가 불평등하다.
하지만 빈곤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바로 어린이다.
어린이들은 영양실조 질병 등에 걸리기 쉬우며 학업을 포기하고 일을 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가난과 싸워나가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지원만큼 정책결정이 중요하다.
또 이들 정책을 서로 조정하는 것도 긴요한 일이다.
최근 국제기구 등 기관들이 이같은 핵심역할을 수행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빈곤퇴치 전략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경제 사회 정치적 기관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
이같은 기관들이 적절히 개발되지 않는다면 아무리 훌륭한 전략이나 정책도 결국 실패하고 만다.
하지만 여러 기관들만 만들어 놓는다고 해서 모든 일이 해결되는 건 아니다.
기관의 부재만큼 빈곤층의 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상당수 국가들이 다양한 빈곤퇴치 정책을 갖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적절치 못한 기관들 때문에 정책의 효과가 별로 없다.
절대빈곤을 없애기 위해서는 우선 각종 기관들부터 정비해야 한다.
빈곤층이 스스로의 힘을 키우고 자신의 이익을 주장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기관을 통해 전달할 수 있어야 빈곤이 실질적으로 극복될 수 있다.
각국 복지수준의 차이는 다양한 이유에서 비롯된다.
경제적인 이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정치적 요인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이같은 요인들이 서로 융합하지 못하는 부분도 가난의 이유로 들 수 있다.
이들간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아주는 게 바로 기관이다.
기관과 이들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아시아 역내 빈곤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빈곤을 몰아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최근 발표한 '장기전략계획(LTSF)'도 오는 2015년까지 극빈층을 절반으로 낮추려는 국제사회의 움직임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빈곤의 1차적 책임은 각국 정부가 갖고 있다.
하지만 빈곤퇴치의 성공을 위해서는 민간부문과 함께 국제사회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리=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
◇이 글은 지노 다다오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가 최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가난,성장 그리고 기관의 역할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행한 연설을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