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민주당 총재직 사퇴라는 '초강수'에 "어느 정도 예상은 했지만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며 정국전반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세웠다. 한나라당은 특히 김대통령의 총재직 이양이 여권내 대권후보 경쟁을 가속화시켜 경선정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전당대회 개최시기 및 총재와 대선후보의 분리선출 여부를 놓고 후보간 난타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김 대통령이 중립적 위치에서 국정을 운영하고 대권 경쟁에초연한 입장에 서서 민생안정과 경제난 극복에 매진할 경우 초당적 협력을 아끼지않을 것이라는 유연한 입장을 보였다. 최병렬(崔秉烈) 부총재는 "대통령이 총재직을 이양해도 민주당 다수파는 여전히동교동계"라면서 "앞으로 대권경쟁이 앞당겨질 것이며, 특히 이인제-한화갑 대결구도가 주목을 끌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기배(金杞培) 사무총장은 "민주당 지도부가 연합체제나 집단지도체제로 가면서 후보들간 합종연횡이 가속화되고 권력투쟁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그러나 대통령이 결국 원격으로 (당을) 조종할 가능성이 크다"며 "중립내각을 해야 야당이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성(金武星) 총재비서실장은 "예상됐던 수순"이라며 "당내분 상태에서 수습할 길이 없다고 판단, 성공적인 국정운영쪽을 선택한 것 같다"며 "당권을 잡기위한동교동계 신구파의 갈등, 이인제-반이인제 진영의 대권 다툼 등으로 분당 가능성도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보통인 정형근(鄭亨根) 의원은 "대통령이 정파를 초월해 국정에만 전념하겠다는 메시지"라며 "그러나 야당이 `반DJ' 반사이익을 누려온 만큼 여당에 위기감을 불어넣어 자생력을 심어주고 단합하게 함으로써 야당의 반사이익을 상쇄하려는 뜻도담겨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용환(金龍煥) 국가혁신위원장은 "대통령이 최고위원회의가 아닌 당무회의에서 결단의 내용을 밝히려는 것은 최고위원들의 핵심적인 요구사항을 비켜나가려는 뜻이 있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기자 cbr@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