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년만에 채권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시장금리 급등에 따른 연말 자금경색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의도에서다. 금리가 계속 뛸 경우 투신사의 MMF(머니마켓펀드) 환매 악순환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다 만기 회사채의 차환발행에도 적지않은 차질이 예상된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금융시장의 자금 수위를 높여놓을 수 있기 때문에 탄력을 받고있는 주식시장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된다. 사실 최근의 금리상승은 경기회복 가능성에 따른 시장기조의 변화로 보는 시각이 많다. 때문에 지난달 연 4.34%까지 하락했던 3년만기 국고채 금리는 6%대 턱밑까지 치고 올라왔고 이런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돼 왔다. 이런 시점에서 한은이 1조원 시장개입을 선언한 것은 금리오름세를 더이상 방치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연 6%선'이 당국이 보는 금리 상한선이 아니냐는 시각도 그래서 나온다. 박재환 한은 금융시장국장은 "적정 금리 수준에 대해선 언급할 수 없지만 과도한 금리 급등세는 예의주시하고 필요할 때는 추가로 개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일단 1조원 정도면 금리 오름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고있다. 매입 대상채권도 2, 3, 5년만기 채권중 기준이 되는 지표채권들이어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채권 발행잔액(6조1천억원)의 6분의 1가량을 한은이 거둬들이는 셈이다. 한은은 개입효과 극대화를 위해 발표시간도 장 끝나기 직전으로 잡았다. 당장 23일 장막판 4분동안 국채선물 가격이 90틱(0.90포인트)이나 뛰었다. 이는 채권 수익률이 0.30%포인트 급락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3년만기 국고채도 연 5.82%로 급락했다. 오형규 기자 o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