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브'라는 말이 외래어로 자리를 잡은지 오래다. 야구할 때 커브로 던진다든지 골목길에서 커브를 돈다든지 하는 말을 많이 쓰고 있다. 이 때의 커브는 curve로 쓰며 뭔가 구부러져 있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우리말 발음으로 했을 때 같은 '커브'이긴 하나 철자가 다른 curb가 있다. 흔히 차도와 인도의 경계 부분에 돌이나 콘크리트로 턱을 두어 길게 이어지는 한 부분을 가리킨다. 이 부분을 돌을 붙여 만든 경우에는 각각의 돌을 curbstone이라고 한다. 영화에서 종종 등장하듯이 주로 암거래 같은 것이긴 하나 길거리나 건물 외벽 모퉁이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데 이런 형태의 거래는 조직화된(organized), 공식적인(official) 장소에서의 매매와는 구별된다. 따라서 밖에서, 즉 도로변에서 사고 파는 시장을 curb market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흔히 사채(私債)시장이라고 할 때 이 말을 많이 쓴다. corporate bond(회사채)를 가리키는 사채(社債)가 아닌데 주의 바란다. curb market이 반드시 사채시장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앞서 말한 조직화된(organized and official) 장소에서 일어나는 거래를 제외한 거래를 통칭해 curb market이라고 하기도 하며 시장내에서의 거래와 대비해 쓰는 장외 거래를 가리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The average curb loan taken out by borrowers amounted to 10 million won(차입자들의 평규 사채 차입금은 천만원이다). curb loan은 curb에서 빌린 돈이라는 의미이므로 사채를 가리킨다. 풀어쓰면 'a loan taken on the curb'가 된다. 이와 같이 'on the curb'는 말 그대로 '보도의 연석 위에서' '길가에서'라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비유적으로 쓰이면 '길가에서 하는 거래', 즉 개인적으로 매매 당사자끼리 주고 받는 거래를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c를 대문자로 해서 Curb Exchange로 하면 미국 American Stock Exchange(AMEX)의 별칭이 된다는 것도 같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이는 뉴욕증권거래소(NYSE)가 주로 대형사의 주식.채권을 거래하는데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거래를 담당해 왔던 AMEX를 curb market에 비유해 불러 왔던 것에 연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 네오퀘스트 (www.neoqst.com) 제공 ] ----------------------------------------------------------------- < curb > curb는 동사로는 뭔가를 눌러서 견제(check)하거나 억제(restrain)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curb corruption(부정부패 방지), curb the trend(어떠한 경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다)와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말이 제멋대로 날뛰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재갈을 물리는 행위를 curb라 하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면 된다. The three big brokerage firms vowed not to stage a huge sell-off to curb a possible steep slide(대형 증권사 세곳은 가파른 (주가) 하락을 막기 위해 대량 매도를 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curb를 명사로 해 'put a curb on~'으로도 할 수 있다. You'd better put a curb on her spending spree(돈을 헤프게 쓰는데 대해 제동을 걸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