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전형에서 북극성 역할을 해온 총점 석차가 공개되지 않아 진학상담을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다" "선생님만 믿지 말고 너희들(수험생)도 알아서 지원가능 대학을 파악해라.영역별 가중치가 대학마다 다르니까 잘 계산해야 한다" 지난 3일 수능성적이 발표된 이후 고교에서 빚어지고 있는 진학상담 혼란상중 대표적인 것만 고른 것이다. 정시모집 원서접수(10~13일)가 코앞에 닥쳐왔는데도 많는 수험생들은 아직도 정보부족과 불안감에 휩싸여 있는 상태다. 교육 현장에서는 무엇보다 총점 석차 미공개에 대해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수능점수 대폭락 이후 불안감에 휩싸여 있는 수험생들에게 자기점수 위치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지표인 총점석차는 알려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G고의 한 교사는 "상식적으로 총점 석차는 공개할 수 있는 자료라고 생각하는데도 교육부가 이를 굳이 감추려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분개했다. 이 교사는 "총점 석차를 공개하면 학생이 서열화된다는 교육부의 논리는 앞뒤가 안맞는다"며 "솔직히 대학가는게 서열화 작업이나 마찬가진데 숨긴다고 해봐야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밖에 더 되겠느냐"고 반박했다. 그는 그러면서 교육부가 반드시 서열화를 막겠다면 총점은 공개하되 대학들이 총점 석차를 전형에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고 지적한다. 지금처럼 대학마다 전형방법이 복잡하고 다양한 때에 총점 석차라도 알아야 지원가능대학을 점쳐볼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장의 목소리가 이런데도 교육부는 요지부동이다. 총점 공개에 따른 학생 서열화를 없애겠다는 큰 취지를 이해해 수험생들에게 불편을 감수해줄 것을 당부하는 정도다. 물론 교육부의 주장에도 일리는 있다. "총점 평가"는 특기 및 적성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교육방향과 맞지 않으며 전과목을 공부해야 하는 부담만 늘릴뿐이라는 설명은 이해 못할 바 아니다. 하지만 73만 수험생이 요구하는 모든 자료는 일단 공개하는 것이 원칙이다. 혹여 부작용이 따른다면 그것은 다른 정책 수단으로 막아야 한다. 부작용을 최소화할 생각은 않고 총점 석차를 절대 공개할 수 없다고 버티는 것은 입시현장을 무시한 고집일 뿐이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