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은행장들이 모인 까닭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일 서울 은행회관에서는 진념 경제부총리 주재로 은행장 오찬간담회가 열렸다.
언제나 그랬듯이 '뭔가'를 기대하는 기자들도 간담회장에 진을 쳤다.
잠시후 자리에 앉은 진 부총리는 불쑥 공적자금 문제부터 꺼냈다.
그는 "부실기업주가 공적 자금을 해외로 빼돌렸다는 언론 보도 때문에 국가적 망신을 당할뻔 했다"며 언론의 보도행태부터 비판했다.
그는 "어제 미국 CNN방송과 인터뷰를 했는데 감사원 특감결과에 대해 물어보더라"며 "해명하느라고 애를 먹었다"고 말했다.
"작년말 공적자금관리특별법이 생긴 이후 이번이 첫 조사"라며 "부실기업주의 과거 재산과 현재 재산을 비교해 차이가 난 것을 공적자금 유출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설명도 잊지 않았다.
그의 발언수위가 점점 높아지자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 직원들은 기자들을 간담회장 밖으로 내몰기 시작했다.
진 부총리의 발언이 자칫 '공적자금 책임론'에 대한 불만 표출로 비쳐질 것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진 부총리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이같은 발언을 했을 리 없다.
그는 "부실기업주및 임원의 재산에 대해 철저히 추적할 것을 지시했다"며 "은행들도 관리를 제대로 했는지 반성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간담회가 끝난후 논의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접했을 때 '역시나'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었다.
공적자금 감사결과 후유증으로 위축된 기업대출을 활성화하고 은행들이 지속적으로 개혁을 추진해줄 것을 당부했다는 것이 주 내용이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업대출을 활성화할지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알맹이 있는 회의라고 보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날 모임은 결국 '공적자금 특감 후유증'을 씻어내려는 정부 부처의 움직임에 은행장들이 들러리를 선 것에 다름 아니었다.
한 은행장은 "연말이라고 해도 기업자금 수요가 몰리는 것도 아니고 일선 창구가 위축된 것도 아닌데"라며 모인 이유를 회의가 끝나서까지도 궁금해했다.
김준현 금융부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