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전자와 하이마트의 분쟁은 경영권 문제를 둘러싼 힘겨루기의 성격이 짙어 타협점을 찾기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하이마트측은 힘겹게 정상화시킨 회사를 사수하겠다는 태세이고 대우전자도 정당한 채권회수임을 강조하며 일전불사의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경위 및 쟁점=분쟁은 지난 10월부터 본격화됐다. 당시 대우전자는 서울지법 서부지원에 가압류신청을 했다가 공탁금 4백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기각당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서울보증보험에 2억6천만원짜리 보험을 드는 방식으로 다시 가압류를 신청해 법원의 허락을 받아냈다. 법원은 12일 전국2백30개 하이마트 매장의 전자제품에 대한 가압류에 들어갈 예정이다. 발단은 지난 98년 하이마트가 대우전자에서 분리되면서 지게 된 4천5백76억원의 채무(하이마트측 주장채무)에서 비롯됐다. 현재 1천2백여억원을 갚고 원금은 3천3백억원이 남은 상태. 이외 과거 이자분 1천7백억원과 앞으로 발생할 이자를 갚아야 하느냐가 쟁점이다. 대우전자 입장=대우전자는 현재 금융권 빚이 6조원에 달하는 등 재무상태가 악화돼 최소한 앞으로 발생하는 원금부분에 대한 이자는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과거이자에 대해서는 이를 면제해주는 대신 최소한의 임원 선임권과 지분20% 출자전환(액면 34억원 상당)을 요구 등은 정당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또 원금 3천3백억원은 8년동안 분할상환하라고 제안했다. 임원선임을 요구한 것은 하이마트측이 정관변경 등을 통해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불가피한 조치라는 설명이다. 이와함께 하이마트의 독립으로 판로가 막힌 자사 전자제품을 일정금액 이상 납품받을 것을 요구했다. 하이마트 입장=대우전자의 어려운 사정을 감안해 지금까지 1천2백억원을 갚고 남은 빚에 대해서도 최대한 빨리 갚겠다는 양보안을 냈지만 대우측이 경영참여를 목적으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하이마트는 "지난 98년과 올 6월 두차례에 걸친 계약으로 과거이자 1천7백억원과 앞으로 발생할 이자를 갚을 의무가 없다"고 주장한다. 또 원금 3천3백억원은 올해 1천억원,내년 상반기중 1천억원을 갚고 나머지 1천여억원은 전환사채를 발행해 상환하겠다는 안을 제시했다. 전망=대우전자는 채권을 담보로 별도의 영업유통망을 신설하는 문제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쉽사리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천명한 것이다. 하이마트도 결사적이기는 마찬가지다. 3천6백명이던 임직원을 1천8백명으로 줄이는 등 피나는 노력으로 경영이 본궤도에 오르자 대우전자가 과도한 욕심을 부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하이마트의 영업이 파행을 거듭할 경우 양측이 모두에게 이로울 게 없다. 따라서 양측은 법률적인 절차를 진행시키면서 활발한 물밑접촉을 통해 어떤식으로든 합의를 이끌어 낼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하이마트의 영업은 일정기간 파행이 불가피해 유통시장에 만만치 않은 여파를 미칠 전망이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