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내년에 도시에서만 최소 8백만명이상의 고용을 새로 창출해야 하는 등 심각한 실업난에 직면,경제개혁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3일 보도했다. 장줘지 중국 노동사회보장부 부장(장관)은 "도시 실업률을 4.5%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선 8백만명 이상의 신규고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과거 신규고용 창출 연간 목표에 비해 2백만명 더 많은 것이라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세계무역기구(WTO)가입에 따른 외국기업과의 경쟁격화로 실업자 급증이 예상돼 실업은 중국 정부의 내년 경제정책 운용에 최대복병으로 떠올랐다. 특히 중국 실업문제는 중국 정부의 통계치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날 발표된 신규고용 창출 규모에는 샤강(下崗·실직)근로자를 감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샤강은 국유기업에 고용돼 있지만 거의 임금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로 수천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국유기업은 중국 도시 근로자의 55%를 고용하고 있다. 1억5천만명의 농촌 실업자들도 실업 통계에는 빠져 있다. 또 '나홀로 성장세'가 주춤해지고 있어 고용창출 여력도 줄고 있다. 지난 11월 중국의 산업생산은 전년동기보다 7.9% 증가하는데 그쳤다. 월기준으로 증가율이 2년만에 가장 낮은 것이다. 이에따라 올 상반기 7.6%에 달했던 경제 성장률이 3·4분기에 7%로 떨어진데 이어 4·4분기에는 이보다 더 하락할 것으로 파이낸셜타임스는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도시 실업자(정부 발표기준)만이라도 구제하려면 최소 7%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