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 도입 방안에 관한 노.사 합의 여부를 결정할 노사정위원회 고위급 협상이 오는 19일 열린다. 16일 노사정위와 노동부에 따르면 장영철 노사정위원장과 진념 재정경제부장관, 유용태 노동부장관, 이남순 한국노총위원장, 김창성 경총회장 등은 19일 고위급 협상을 열고 지난 12일 노사정위가 제안한 '주5일 근무제 합의대안'을 놓고 최종 담판을 벌이기로 했다. 노사정위는 이번 협상에서 최종 합의를 시도한 뒤 실패할 경우 정부 입법안이 내년 2월 임시국회에 제출될 수 있도록 정부측에 논의 결과를 넘길 예정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9일 최종 협상에서 합의에 실패하면 노사정 논의를 일단 종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노사정위는 지난 12일 △주5일 근무제 도입으로 기존 임금수준과 시간당 통상임금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고 △탄력적근로시간제 적용기간을 6개월로 확대하며 △생리휴가와 주휴일을 무급화하며 △3년간 연장근로 상한선을 주당 16시간으로 연장하고 늘어나는 4시간분의 수당 할증률을 25%로 한다는 등의 안을 노사 양측에 제시했다. 노동계는 그러나 핵심 쟁점인 임금보전 문제와 관련, "이번 안은 주휴 무급화와 근로시간 단축 4시간분에 대한 임금보전만을 의미할 뿐이며 연월차 수당과 생리휴가 무급화 등에 따른 임금보전은 불가능하다"며 반발하고 있어 최종 합의를 이끌어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도경 기자 infof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