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청담·도곡지구에서 5천가구의 아파트를 동시에 재건축하더라도 전세대란이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용역결과가 나왔다. 강남구는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저밀도지구 아파트의 우선재건축사업승인 규모를 2천5백가구에서 5천가구로 늘리는 문제를 서울시와 협의할 예정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청담·도곡지구의 재건축 물량을 2천5백가구 이상으로 늘릴 경우 전세난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이 문제를 놓고 어떻게 조율이 이뤄질지 주목된다. 17일 강남구가 연구용역을 맡긴 '청담·도곡 저밀도 재건축에 따른 전세난 검토' 보고서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 5천가구가 동시에 이주를 시작하면 5개월후 강남구를 비롯한 인근 서초구 송파구에서 2.8%의 전세값 상승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송파구 잠실지구,서초구 반포지구 등지에서 동시에 5천가구씩 재건축이 시작되더라도 전세값이 추가로 2.0% 상승하는데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지난 7월 이후 5개월간 착공된 강남 서초 송파구의 단독·다세대·다가구주택은 모두 3천가구에 이르러 이 일대의 전세값을 0.7%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서울 강남구 청담·도곡 저밀도지구에서 5천가구가 한꺼번에 재건축에 들어가더라도 강남지역 전세값 인상요인은 4.1%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강동구와 동작구에서도 비슷한 수치의 상승 및 하락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용역을 맡은 컨설팅회사 관계자는 "전세난 모형에 5천가구를 대입한 결과 강남권 3개구는 물론 강동 등 인근 지역에 미칠 전세값 상승률은 모두 4.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올해 서울시 전체 평균 전세값 상승률 21%에 비하면 높지 않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강남구는 용역 결과가 이같이 나옴에 따라 5천가구까지 사업승인을 내주거나 단지별 사업승인 시기를 앞당겨 주도록 서울시에 요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구 관계자는 "예상보다 전세난에 미칠 영향이 작다면 5천가구에 대해 사업승인을 내주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며 "강남구 일대 저밀도아파트 9천2백가구가 전체의 이주스케줄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해 재건축사업 승인 가구수 및 시기를 조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우선사업승인 대상 가구수를 2천5백가구로 정한 것은 전세난과 단지별 가구수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라며 "현재로선 우선 허용가구수를 재검토할 이유가 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류시훈 기자 bad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