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학년도 수능개편안] 수험생 '편식공부' 부작용 클듯..문제 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8일 발표된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은 일단 "이상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수능시험 반영 영역을 대학 자율로 정하고 수험생들도 자신의 특기 적성에 따라 공부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전반적으로는 바람직한 개편 방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개편안은 적잖은 부작용을 예고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지원하는 대학이 요구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수험생들이 아예 일찌감치 공부를 포기함으로써 "편식 공부"를 낳을 소지가 다분하다.
또 수험생의 선택 과목수가 급격하게 늘어나면 지금처럼 한 고사장에서 5개 영역을 모두 치르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즉 선택과목에 따라 수험생들을 수많은 고사장으로 분리,시험을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이는 시험관리가 그만큼 까다로워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편식공부가 심해진다=고교 1학년 때부터 "버리는 공부"와 "할 공부"로 나눠질 수 있다.
인문계 학과 지원자는 수리와 과학탐구를,자연계 학과 지원자는 사회탐구나 언어를 아예 포기해 버릴 수 있다.
내신관리를 위해 공부는 하겠지만 수능시험을 보지는 않는 만큼 "겉핥기식"이 될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
일선 고교도 다양한 선택으로 인해 수업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험생들이 지원하고픈 대학이 아랍어를 요구할 경우 아랍어 교사를 따로 둬야 하는 등 다양한 선택에 따른 학교 대응도 쉽지 않다.
시험관리 제대로 될까=언어 외국어영역 각 1개,수리영역 "가,나"형,사회탐구의 11개 선택과목,과학탐구의 8개과목,직업탐구의 17개 과목,제2외국어/한문의 8개 과목 등 이론상으로 총 48가지 문제지가 필요하게 된다.
5개영역에 국한된 현 체제하에서도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고 있는데 48가지 과목별 문제를 출제할 경우 난이도를 맞출 수 있을 지 의문이다.
수험장 풍경도 혼란스러울 전망이다.
학생별로 최고 5개 영역에서 1개 영역까지 응시영역이 달라 수험생이 수험장을 옮겨다녀야 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가령 먼저 시험을 끝낸 수험생과 시험이 남은 수험생간,같은 영역내에서도 선택과목수가 다른 수험생간의 시간 조절과 고사장 재배치 등도 복잡해진다.
공부부담 가능성=학생들이 고교 2학년에 올라가면서는 진로를 정해 선택과목을 심화학습하도록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고교 2학년때 선뜻 진로를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이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언어나 외국어 영역은 물론 사회탐구나 과학탐구 등도 만약을 대비해 두루 공부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같은 계열 학과라도 대학별로 반영하는 영역과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는 것도 문제다.
학생들은 복수지원을 위해 결국 이 대학,저 대학이 요구하는 영역과 선택과목 공부를 병행해야 된다.
학원 의존도 높아진다=대학에서 요구하는 영역은 추후 확정된다.
학원들은 대학이 요구하는 영역별로 특성화된 "맞춤형 수강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수험생들의 학원의존도를 높이는 결과가 된다.
한 학원 관계자는 "재수생 중심의 종합학원은 시장을 잃어버리는 반년 재학생을 상대로 한 새로운 학원이 인기를 끌 것"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특정대학을 겨냥해 선택영역만 집중 공부시키는 학원도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자율과 선택을 축으로 한 2005학년도 수능 개편안은 뜻하지 않게 사교육비 부담을 오히려 늘리는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재수는 어렵다=현재 고교 1학년 이상의 학생들은 2004학년도 입시에서 실패하면 2005학년도 입시에 재도전하기가 쉽지 않다.
입시제도가 대폭 바뀌는 데다 현재 고1이상 학생들은 6차교육과정을 적용받아 공부했기 때문에 배우는 내용이 현재 중3과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