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을 일으킨 MBK파트너스와 영풍이 고려아연의 호주 손자회사 선메탈코퍼레이션(SMC)가 영풍 주식을 사들인 자금의 출처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SMC는 고려아연 임시주총 하루 전에 영풍 주식 10.3%를 매입해 영풍이 보유한 고려아연 지분의 의결권을 배제시키는 역할을 한 바 있다.2일 MBK는 보도자료를 통해 "SMC가 고려아연의 지급보증을 통해 차입한 자본지출(CAPEX) 자금을 최윤범 회장의 지시로 본업과 연관성이 없는 영풍 주식 매입에 활용했다"며 "SMC의 영풍 주식 취득이 고려아연에 적용되는 상호출자 금지를 회피하기 위해 고려아연의 계산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명백한 증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에 대한 근거로 SMC의 재무제표와 고려아연의 연결·별도 감사보고서 등을 분석한 자료를 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3년말 기준 SMC의 단기차입금은 1160억원 수준이며, 이는 고려아연의 지급보증으로 호주 ANZ은행 등으로부터 차입한 것이라고 MBK는 말했다.MBK는 "2024년 말 기준 SMC의 현금 보유액 대부분은 영업으로 인한 이익이 아니라 고려아연이 지급보증을 했기 때문에 존재한 셈"이라며 고려아연 임원이기도 한 박기덕 SMC 이사와 이성채 SMC 대표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지시로 영풍 주식을 매수했다고 주장했다.이어 "(SMC가 영풍 주식을 매입하는 데 쓴 금액인) 575억원은 SMC의 2023년까지 직전 5개년간 평균 연간 CAPEX 투자액인 1천68억원의 약 54%에 해당하는 대규모 금액"이라며 "도저히 SMC가 스스로의 경영 판단에 의해 영풍 주식을 취득했다고는 보기 어려운 지점"이라고 지적했다.이 같은 주장에 대해 고려아연은 "MBK 측이 3년 전 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의 포문을 열면서 한국 주식시장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앞선 트럼프 1기 때도 관세전쟁이 시작된 뒤 외국인 투자자의 한국 주식시장 이탈이 가속화돼 2600선을 넘보던 코스피가 2000선 아래로 내려간 바 있다.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코스피는 2517.37을 기록했다. 설 명절 연휴가 시작되기 직전과 비교해 0.77% 하락했다. 연휴 기간동안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발 충격으로 글로벌 증시가 크게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하지만 외국인은 지난달 3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1755억원어치 주식을 팔아치웠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전쟁을 펼치는 데 데한 우려가 외국인의 위험자산 기피 현상을 부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주말을 거치면서 관세전쟁은 현실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최대 25%의 관세를, 중국에는 10% 관세를 각각 추가해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수출로 먹고 사는 경제구조를 가진 한국에게 관세전쟁은 이로울 게 없다.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에도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관세 부과에 나서면서 기업들이 타격을 입은 바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018년 2.9%에서 2019년 2%로 곤두박질쳤다.코스피 역시 2018년 1월에 2598.19까지 올랐다가 같은해 10월 1996.05까지 23.17% 하락했다.이번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향해 관세 부과 칼날을 겨눌 가능성이 작지 않다. 대미 수출이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작년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1278억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7년째 최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