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지불하고 어떤 대상을 일정기간 사용할 권한을 얻는 것을 ''hire''라고 한다.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도 사용돼 ''hire a person for~''라고 하면 ''누군가를 ~한 목적으로 고용하다''가 되며 hire의 대상이 사물, 예컨대 자동차인 경우 돈을 지불하고 자동차를 일정기간 동안 빌려 쓰는게 된다. Many firms are reluctant to hire local accountants.(많은 회사에서 현지 회계사 고용을 꺼리고 있다) ''hire=고용하다''로만 생각해서는 뜻하는 바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고용한다는 면에서 hire와 같은 뜻을 지닌 employ는 ''정식, 장기간''의 고용을 의미한다는데 hire와 차이가 있다. 그렇다고 hire가 임시 채용(employment on trial, employment on a trial basis) 을 뜻하는 것도 아니다. 임시(temporary) 채용과 같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정식 채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대가를 지불하면서(with full payment) 일정 기간 일을 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hire는 ''고용''이긴 하지만 그 뜻이 어느 정도 한정돼 있다는 점에 주의하기 바란다. 바쁜 연예인이 매니저를 한 명 쓰겠다고 할 때 "He(She) employed a schedule manager"보다는 "He(She) hired a schedule manager"라고 하는게 내용에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사립탐정(private detective)을 고용해서 뭔가 일을 부탁할 때에도 employ보다는 hire의 개념이 더 적당하다. 대상이 사람이 아닌 사물의 경우 hire는 ''빌린다''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흔히 전세 버스로 어딜 간다는 식의 말을 많이 한다. 버스나 배 전체를 빌려서 사용한다는 것인데 그냥 빌린다기 보다는 운전하는 사람까지 포함해서 통째로 일정 기간 빌린다는 뜻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I hired a car"와 "I rented a car"에는 운전기사가 딸려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아 두기 바란다. [ 네오퀘스트(www.neoqst.com) 제공 ] ----------------------------------------------------------------- < lay off > 고용과는 반대로 누군가를 해고하는 경우에는 ''dismiss someone from~''과 같이 dismiss(명사형 dismissal)를 쓴다. 구어체로 fire도 많이 쓰인다. 해고한다는 말에는 fire 외에도 lay off가 있다. lay off는 앞서 employ와 hire의 관계에서처럼 완전히 해고시키느냐 아니면 일시적으로 해고시켰다가 훗날 상황에 따라 다시 채용해서 쓰느냐의 차이를 바탕으로 이해할 수 있다. "He was laid off last week"는 ''지난 주에 해고됐다''이긴 하지만 그 상태가 일시적이라는 뜻이 내포돼 있다는 점에서 "He was fired last week"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