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냉장고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김치냉장고가 TV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과 함께 가전 5대 품목에 들어갈 만큼 시장이 커졌다. 김치냉장고의 지난해 시장 규모만도 연간 1백20만대. 1조원 시장이다. 지난해 냉장고는 8천억원, TV는 9천7백억원의 시장이 형성됐다. 만도공조가 1995년 김치냉장고 ''딤채''를 선보인지 8년만에 김치냉장고가 그 원조격인 서양식 일반 냉장고보다 더 많이 판매되고 있다는 계산이다. LG 삼성 등 대기업은 물론 중소가전업체, 심지어 홈쇼핑 및 인터넷쇼핑몰의 PB(자체브랜드) 상품까지 이 시장에 가세했다. 현재 김치냉장고 보급률이 2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김치냉장고는 앞으로 4~5년간 더욱 급성장할 전망이다. 그중 만도공조의 딤채는 김치냉장고의 대명사가 됐다. 김치냉장고 원조격인 딤채는 삼성 LG 등 대형가전사의 물량공세에도 불구하고 부동의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65만대의 딤채를 팔았다. 딤채의 성공은 한국의 전통과학인 ''김치 저장.숙성과학''을 첨단공조기술과 접목시킨 한국형 가전제품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제품설계보다 김치연구부터 =에어컨 생산라인을 겨울에 가동시키기 위해 ''김치냉장고 개발 프로젝트팀''을 구성했다. 이 팀은 제품설계가 아니라 김치 특성을 연구하는 기초작업부터 시작했다. 우선 회사 구내식당 아줌마들에게 김치담그는 법을 배웠다. 김치 담그는 법이 담긴 책자는 모조리 사모았다. 김치전공 조리학 교수와 전국의 내로라하는 요리 전문가를 찾아다니며 비법을 전수받았다. 김치가 맛있게 숙성되는 환경을 찾기 위해서다. 맛이 든 김치를 장기보관하는 다양한 온도 조건도 연구했다. 1993년부터 첫 제품을 내놓을 때인 1995년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김치를 담그고 테스트하는 과정이 지속됐다. 지금까지 10년간 배추 1만접(1백만포기) 가량의 김치를 담았다. ''0도±0.5도''가 비밀 =개발팀은 김장독 김치가 맛있는 이유가 온도와 숙성기간에 있다는 것을 3년여의 연구개발 끝에 밝혔다. 땅속 김장 김치 맛을 내는 온도 메커니즘의 최적치를 확인,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했다. 김장철인 11월 하순의 땅속 온도는 영상 5~10도, 12월 초순부터 이듬해 2월말까지는 0~영하1도로 지속된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일정기간에 걸쳐 냉장온도를 0도로 낮추고, 이후 0~영하1도로 편차를 최소화하면 김치 맛이 가장 좋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이런 온도의 매트릭스 알고리즘을 딤채에 적용했다. 특히 김치에 있는 뉴코노스톡이란 유산균이 ml당 6천3백만마리일 때 가장 맛있게 익는다는 걸 밝혀냈다. 또 그 맛이 0도에서 편차가 1도 이하여야 한다는 것도 실험의 결과다. 개발팀은 김치 뿐만아니라 과일 야채 육류 등의 선도를 유지하는 다양한 온도와 환경조건의 차이를 터득해 김치냉장고를 야채 육류 과일의 저장고로 쓸 수 있도록 설계했다. 주부 사이에 번지는 입소문 =개발팀은 김치냉장고 이름을 김치의 옛 우리말인 ''딤채''로 지었다. 개발팀은 제품출시를 앞둔 상태에서 "주부들이 딤채의 김치맛을 보면 반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만도공조는 ''구전(口傳)마케팅''을 입안해 실행에 옮겼다. 1995년 첫 제품이 나왔을 때 서울 강남지역 중산층 주부들에게 딤채 5천대를 나눠줬다. 주부들이 3개월동안 직접 사용 후 구매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마케팅 기법을 사용했다. 결과는 대성공. 실험 대상 주부 80% 이상이 김치냉장고를 샀다. 그 후 두달만에 딤채가 매진됐다. 주부들 ''입''을 통해 소문이 급속히 퍼졌기 때문이다. 1996년 2만대, 1997년 8만대가 팔렸다. 그야말로 대박이었다. 딤채는 대형가전사를 자극시켰다. 삼성 LG가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김치냉장고 시장은 매년 두배 이상의 급성장을 기록중이다. 황한규 만도공조 사장은 "김치는 한국인의 입맛을 대표하는 음식문화이지만 주부들이 김치를 담그지도 보관하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가족들에게 김치 맛이 없다는 소리를 듣는 주부들의 스트레스를 풀어준 제품이 딤채며 이것이 바로 성공비결"이라고 말했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