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美관계 급속악화] 한반도 화해무드 냉기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잇단 대북 경고에 대해 북한이 강력 반발,북·미관계가 극한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지난 93∼94년의 한반도 핵위기 상황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또 북·미 간의 대화를 통한 관계개선을 유도하려는 우리 정부의 노력이 난관에 봉착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북한의 강경대응=북한은 1일 부시 연설에 대해 "선전포고나 다름없다" "무자비하게 쓸어버릴 것"이라는 격한 말까지 써가며 경고하고 나섰다.
또 "우리를 군사적으로 덮쳐보려는 무모한 기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규정한 것은 향후 북·미관계의 험로를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북한이 이렇게 강경입장을 보인 것은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위해 상당히 노력했음에도 불구,부시 행정부가 여전히 대북 적개감을 버리지 않는 데 대한 분노의 표시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실제로 북한은 작년말 반테러 국제협약에 추가로 가입하고 미국에 대한 직접 비난도 자제해 왔다.
또 지난달 초 박길연 유엔주재 대표부 대사가 잭 프리처드 미 한반도평화담당 특사와 접촉을 갖는 등 대화의지도 분명히했다.
때문에 대량살상무기를 둘러싼 북한과 미국의 치고받기가 계속되면서 북측과 각종 대화채널을 복원하려는 우리측의 전략에도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단을 교환하자'는 대한적십자사의 제의에 북측이 아직까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있는 것도 이같은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정부대응 부심=부시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북·미 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하려던 우리 정부로서는 당황한 표정이 역력하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들은 일단 북한의 성명에 대해 "수사적인 표현"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북한의 반응을 분석해 보면 '미국의 행동에 따른 대응차원'일 뿐 공격적인 언급은 눈에 띄지 않는다"면서 "정부는 인내심을 갖고 북·미 관계뿐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같은 차원에서 방미중인 한승수 외교통상부 장관은 1일(현지시간)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만나 미국의 '진의'를 탐색하고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이해와 지지를 요청했다.
정부는 이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간 진지한 대화와 서로에 대한 신뢰가 필요하다는 점을 미국측에 전달하는 등 긴밀한 조율을 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남북대화가 재개될 경우 북한측에 미국과의 대화에서 경직된 사고 대신 대화테이블에 나올수 있도록 적극 권유한다는 방침도 세워놓고 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