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선택 2002 준비위'가 5일 박근혜(朴槿惠) 부총재가 요구해온 국민참여 경선제를 일부 수용키로 의견접근을 봄에따라 향후 절충 결과가 주목된다. 선준위는 회의에서 `대의원+기존당원+모집당원(일반시민)+전화여론조사'의 4가지를 혼합한 절충안으로 대선후보 경선을 실시키로 의견을 모으고 구체적인 방안마련에 착수했다. 절충안은 비록 각 방안의 반영비율이 정해지지 않아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박부총재의 요구를 일부 수용했고, 비주류의 김덕룡(金德龍) 이부영(李富榮) 의원도박관용(朴寬用) 선준위원장과 만나 원칙적인 동의를 했다는 점에서 교착상태에 빠졌던 전당대회 논의에 돌파구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반영비율에 대해서는 일단 `대의원+기존당원'을 50, `모집당원+여론조사'를 50으로 하자는 의견이 다수였지만 회의에 불참한 박 부총재는 `대의원+기존당원'과 모집당원을 50대50으로 하자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박 부총재는 민주당과의 차별화를 위해 박관용 위원장이 `아이디어'를 낸 전화 여론조사 도입과 관련, "한나라당에서 여론조사를 할 경우 신원이 백일하에 드러나는데 누가 이총재를 거부하겠느냐"면서 "그런 조사는 객관성이 없다"며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박 부총재도 자기 주장만 고집할 경우 `역풍'을 맞을수도 있고, 이부영부총재는 최근 이회창(李會昌) 총재를 만나 `6대4' 비율로 하자는 절충안을 낸 것으로 알려져 주류와 비주류간에 물밑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 지도체제 문제와 관련, 선준위는 5월 전대에서 당헌에 "대통령에 당선된 당원은 그 임기동안에 명예직 이외의 당직을 보유할 수 없다. 다만 대통령에 당선되기전에 보유하고 있던 당직은 그 당직에 새로운 당원이 선출되거나 임명되기 전까지유지할 수 있다"는 내용을 삽입하고, 부칙에 "대통령 선거 이후 또는 대통령 취임이후 적절한 시간이 지난 뒤 민주적 집단지도체제로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한다"는데의견접근을 봤다. 다만 그 집단지도체제 도입시기와 방식에 대해서는 대선후 3-6개월내, 단일성집단지도체제가 다수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이성헌(李性憲) 의원 등 비주류측 선준위원 일부는 "대선전 부터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하되, 대선후보가 지도체제 의장을 맡도록 하자"는 의견도 제시했지만대선후 도입주장에 밀렸다는 후문이다. 주류측은 특히 역대 대선에서 "대선후보와 당권이 분리됐을 경우엔 필패했고,후보가 당권을 유지하며 선거를 치렀을 경우 승리했다"는 예를 제시하며 압박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대권.당권 분리로 패한 경우는 ▲67년 6대 대선에서 신민당윤보선 후보와 유진오 당수 ▲71년 7대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와 유진산 당수 ▲92년14대 대선에서 민주당 김대중 후보와 이기택 공동대표 ▲97년 15대 대선에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조순 총재,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와 이만섭 총재 등이 제시됐다. 대선후보가 당권을 유지해 승리한 사례로는 ▲87년 13대 대선시 민정당 노태우후보에게 전두환 대통령이 총재직 이양 ▲92년 14대 대선시 민자당 김영삼 후보에게노태우 대통령이 총재직 이양 ▲97년 15대 대선시 국민회의가 김대중 총재를 후보로선출한 경우가 예시됐다. 선거인단의 규모는 현재 4만5천-6만명 수준에서 논의가 되고 있고, 권역별 경선의 경우 당의 재정상황 등을 고려해 9-11개 지역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ash@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수훈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