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산업을 살리자] (인터뷰) 정대근 <농협중앙회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려움에 처한 쌀 산업을 부활시키기 위해 쌀소비를 늘리는 방안이 절실합니다.
농협은 정부와 긴밀히 협조해 우선적으로 벼 매입량을 확대해 벼 재배농가의 시름을 더는 데 전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
농협중앙회 정대근 회장은 벼 재배농가의 고충을 더는 첫째 방안은 무엇보다 매입량 확대에 있다고 강조했다.
농협마저 쌀 매입량을 줄일 경우 우리 농촌은 더이상 설 땅이 없어진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정 회장은 쌀산업이 위기에 처하게 된데는 국내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했다.
우선 국내적으로 고질적인 수급불균형과 급격한 소비감소를 꼽았다.
정 회장은 "지난해의 경우 우리 농업은 90년만의 가뭄을 극복하고 대풍작을 일구어냈으나 물량이 넘쳐 쌀값이 폭락하는 사태를 당했다"며 "수급불균형이 계속되는 한 쌀산업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반대로 가뭄으로 물량이 줄어들어도 쌀값은 풍작에 의한 가격하락폭만큼 오르지 않아 농민들은 이래저래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특히 급격한 쌀소비감소가 문제라고 강조했다.
정 회장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1인당 쌀소비량은 88.9kg에 그쳤다.
통계적으로 보면 지난 5년간 소비량이 16kg이나 감소했다.
쌀소비 감소추세는 이미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것.
그는 WTO체제의 출범으로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정책수단의 폭이 크게 좁아졌다는 점도 쌀산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의 하나로 그는 꼽았다.
사실 WTO협정체결이후 시장안정을 위한 정부의 가격지지정책은 쓰지 못하게 제한돼 있다.
농민이나 정부나 곤란하기는 마찬가지인 셈이다.
고작 쓸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벼수확기에 쏟아져 나오는 물량을 흡수해 가격을 안정시키는 것뿐이라는 얘기다.
"사실 농협은 농림부와 함께 알게 모르게 쌀산업 지지정책을 구사해 오고 있다"고 그는 소개했다.
정 회장은 설명을 통해 벼매입물량을 늘리고 있는 것이 그 첫째라고 말했다.
"지난해의 경우 농협은 정부수매 5백75만석외에 회원농협 자체매입을 통해 4백88만석,중앙회 시가매입 3백41만석 등 총 8백29만석의 벼를 매입하는 등 무려 2조원에 달하는 자체 자금을 투입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쌀값지지를 위해 회원농협은 산지 시세보다 40kg 한가마당 2천~3천원 높은 가격에 벼를 수매했다.
여기에다 회원농협이 벼매입에 필요한 자금 5천억원을 무이자로 지원하기도 했다.
아침밥 먹기운동,쌀한포대 더 사기운동 등의 캠페인을 벌여 소비확대에 노력하고 있다.
"농업인 자녀를 위한 장학기금 1천억원 조성과 1백억원대의 장학재단 설립 등은 농촌사기를 높이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라고 정 회장은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농경문화여서 쌀에 대한 집착이 대단합니다.시장가치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고 지적한 그는 "각종 통상압력속에서도 우리쌀을 지켜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쌀시장개방 압력이 거세지고 있지만 연간 10조원에 달하는 쌀생산과 19조원에 달하는 논의 환경보존 기능을 지킬 필요가 있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선진국들도 경쟁력이 낮은 자국 농업을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는데 우리라고 그러지 말라는 법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농업인들도 생산비절감 등의 노력을 기울여 경쟁력을 갖춰야 하지만 무엇보다 우리 모두가 쌀산업을 살려야 살 수 있다는 식량안보차원의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정 회장은 힘주어 말했다.
각종 지원책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