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시 행정부가 북한을 `악의 축' 국가에 포함시킨 것이 한국과 북한 모두에서 위기를 촉발할 위험이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한국 관리들이 부시 대통령의 대북 강경노선이 오는 20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훼손할 것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한국의 외교정책 고위 관리는 "우리는 대(對) 테러전쟁과 남북문제를 연계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미국 정부가 강경노선을 유지하면 북한이 더욱 움츠려들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국정연설에서 북한에 대해 국민을굶기면서 미사일을 만든다고 비난하자 사실상 선전포고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부시 대통령의 이 연설은 북한이 무기개발 프로그램을 자제하는 대가로 외교관계 정상화를 검토했던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을 사실상 버리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서울의 북한 관측통들은 부시 행정부가 다른 `악의 축' 국가인 이란과 이라크에어떤 조치를 취할지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다른 분석가들은 한반도에서 1994년북한이 핵사찰을 거부했을 때와 비슷한 안보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 분석가들은 현재 미국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방안은 북한의 미사일 수출 선박을 공해에서 포격하는 것과 클린턴 행정부가 1994년 핵무기 프로그램 중단 대가로북한에 약속한 경수로 건설을 중단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분석가들은 이어 북한 미사일 수출 선박을 공해에서 포격하는 것은 현재 국무부부장관이 리처드 아미티지가 1999년 대북정책 실무팀을 이끌 때 정부에 제시한 핵심권고안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의 측근들은 "이런 정책은 북한이 위협에 대해 위협으로대응해온 것을 볼 때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북한이 대포동 미사일을 시험발사하거나 핵무기 프로그램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특파원 yds@yna.co.kr